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주의해야 한다. 흔치 않지만, 그나마 우리나라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기생충 20가지를 소개한다. 몸속 생태계 주인, 질병을 치료하다인간은 기생충과 아주 오랜 시간 동안 함께 해 왔다. 그러다가 최근 50~100년 사이에 갑자기 우리 몸에서 기생충들이 사라졌다. 이 때문에 알레르기나 천식 같은 질병이 ... ...
- [수학공감] 수학, 놀이가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구조물이다. 수학자율동아리 학생들이 이를 어떻게 만드는지 미리 연구해 친구들에게 소개한다.컷팅프린터★ 두꺼운 A4용지 같은 종이를 프로그램으로 설계한 대로 잘라주는 기계다.독특하게 각 종이의 중심에 ∫, Σ, π, ∞, sin같은 다양한 수학 기호가 컷팅프린터로 잘려 있었다. 무드등을 ... ...
- [가상인터뷰]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살다니!도대체 이유가 뭘까? 당장 그 이유를 알아봐야겠어!안녕! 자기소개를 해 줘!안녕하세요? 저는 ‘베도라치’라는 물고기예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 바다와 강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지요. 무려 833개의 다양한 종이 있고, 개체수도 많아 형태에 차이가 커요. 하지만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다양한 도형으로 그림 만들기 등은 우뇌가 주도하는 멋진 활동입니다. 우뇌 속독법도 소개할게요. 책을 읽을 때 문장 하나하나를 자세히 분석하지 말고 시선을 한 문단이나 한 페이지 중앙에 두고 우뇌를 사용해 내용을 통합적으로 빠르게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그런 다음 좌뇌를 이용해 천천히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세포들도 있습니다.그럼 이쯤에서 세포의 유도과정을 잘 보여주는 유명한 실험을 하나 소개할게요. 1924년 독일의 발생학자 한스 슈페만과 힐데 맨골드가 발표한 실험입니다. 슈페만은 훗날 이 연구로 노벨상을 받죠. 두 사람은 도룡뇽의 배아 두 개를 준비했습니다. 그리고는 첫 번째 배아에서 훗날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드러머 스티브 존스와 기타리스트 히스 포그도 비슷한 방법으로 섭외했고요.사실 이제껏 소개한 음악가에 비하면 앨라배마 셰이크스는 햇병아리 가수입니다. 2009년에 결성돼 2012년에 비로소 데뷔한 6년차 가수거든요. 분명 갓 신인 타이틀을 뗀 가수이긴 한데…, 이 짧은 시간에 어떻게 동네밴드가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죠.”발대식에서는 탐사를 더욱 즐겁게 만들어 줄 어린이과학동아 앱의 새로운 기능도 소개됐어요. 올해부터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탐사 기록을 지도로 볼 수 있는 ‘탐사지도’ 기능이 추가됐거든요. 내가 올린 탐사기록을 한번에 모아 직접 출력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기능도 만나 볼 수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학의 연구실을 탐방한 기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노벨상 공장’인 세계의 연구실 소개는 덤!3. 강화된 검색 기능! ‘퀵서치’와 ‘상세 검색 필터’●검색 단어를 입력하면 곧바로 이미지와 기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더 편리한 검색 조건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새로워진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징후가 있는데, 그걸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었어요.”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바이오자성융합센터장)는 물질이 가진 기본 성 ... 융복합 연구실의 최신 연구업적과 그 성과를 함께 이룬 교수와 대학원생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임의의 r명이 어떻게 배치돼 있는지 그 모양까지 고려해 문제를 푼 겁니다. 학술지에 소개된 것은 아니라서 아직 검증이 되지 않았습니다. 만약 오류가 없다면 매우 좋은 연구 결과입니다. 연구팀 주무기는 ‘확률’연구팀은 q명으로 이뤄진 각 조 안에 r명으로 이뤄진 소모임이 있을 때, 전체에서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