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주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즉 의식에서 사라졌다고 뇌에서도 사라진 것은 아니란
얘기
다.가령 내측두엽 손상으로 기억상실증을 보이는 환자에게 단어 목록을 보여주면서 외우라고 한 후 한 시간 뒤에 목록에 있던 단어들을 기억해 보라고 하면 의식적으로 하나도 기억해내지 못하는 것이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폐광지에는 10년이 지났지만 풀 한포기 자라지 않아요.” 국립산림과학원 노은운 박사의
얘기
다. 양분과 수분이 없고, 무엇보다 토양에 중금속이 많기 때문이다. 폐광지는 돌멩이 색도 검다. 여름에는 계란프라이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온도가 높다. 최악의 조건이다. 과연 이런 땅도 식물이 치유할 수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말한다. KAIST 산업디자인과가 그만큼 세계 톱10에 들어갈 확률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얘기
다. 남 교수는 “잘된 디자인 하나는 기업에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줌은 물론 사용자의 감성까지 윤택하게 한다”고 힘줘 말한다. 냉정한 경제관으로 점철된 듯 보이는 디자인도 편리함을 강조하는 현대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회고한다. 비록 외국 기술이지만 이를 한국 실정에 맞춰 산업화에 성공한 좋은 사례라는
얘기
다. 사용자수에 따라 공간을 셀로 나눠 서비스하는 이 방식은 한정된 공간에서 주파수 이용효율이 높다. 비록 GSM방식에게 세계 시장을 빼앗긴 아쉬움은 있지만 산악과 좁은 국토를 가진 한국 실정에 적합한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다. 물론 전등과 네온사인이 없는 한적한 시골에서나 가능한
얘기
다.하늘의 별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흔히 우주를 이루는 기본단위는 별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별이 수천억개 모여 있는 은하가 우주라는 거대한 건물을 구성하는 벽돌이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3월 9일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올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엔 일반 사용자들도 초고속 휴대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
다.세 회사는 신규 서비스의 성공적인 출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유선 서비스 사업자였던 KT나 하나로텔레콤은 무선시장 진입의 기회로, SK텔레콤은 4세대 이동통신으로 가는 중간다리로 와이브로를 보고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냥 웃어 넘겼지만 1982년 연구소를 방문한 로러 박사가 비슷한 연구를 하고 있다는
얘기
를 들은 교수님은 정말 기뻤답니다.훗날 로러 박사는 동료인 비니히 박사와 함께 주사형터널링현미경의 발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되었지요. 교수님 또한 순수 우리 기술을 이용한현미경의 개발을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새만금간척사업으로 얻은 논에서 제대로 농사를 지으려면 2020년이나 돼야 가능하다는
얘기
다. 또 새만금에 형성될 논은 다른 간척지의 논과 달리 바다 밑 논이기 때문에 이 땅의 용도를 변경해 산업단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7~8m 가량을 객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울의 남산만한 산을 20 ... ...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를 소비자의 요구를 미리 예측해 보기에도 좋고 사용하기에도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는
얘기
다. 게다가 생활 습관을 변화시킬 수도 있어야 한다. 이쯤 되면 디자이너들이 언제나 긴장을 유지하면서 주변 정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알만도 하다. 그러면서도 원칙을 유지하고 끊임없이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난류의 움직임을 수식 단 몇 개로 꼬집어 설명한다는 시도 자체가 애초부터 불가능한
얘기
일지 모른다. 요즘은 연구실의 워크스테이션과 슈퍼컴퓨터가 이 문제를 해결해주고 있다.컴퓨터 분석도 중요하지만 결코 실험을 대체할 수는 없다. 성 교수는 난류를 분석하는 실험 과정에서 요긴한 발명품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