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6,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안녕하십니까! 대기업 M그룹의 ‘공평해’ 회장입니다. 저에게는 두 아들과 한 명의 딸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녀석들이 벌써부터 재산 상속을 두고 싸우고 있어요. 안 그래도 어떻게 하면 공평하게 재산을 분배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은데 말이지요.그래서 생각했습니다. 세 자녀들에게 공평한 ... ...
- PART 1. 응답하라,장보고과학기지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밤새 눈이 내린 뒤 아무도 밟지 않은 눈밭에 발자국을 남기는 것은 설레는 일이다. 내 집 앞마당에 쌓인 눈으로도 느껴지는 감정인데 하물며 가장 처음 발을 딛었던 탐험가들의 기분은 어땠을까. 지구상에 마지막으로 남은, 사람이 살지 않는 하얀 대륙, 남극에 말이다.미지의 대륙을 찾는 탐험가들 ... ...
- 지구온난화는 죄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01월 8일(현지시각) 미네소타 주는 영하 37℃로, 미국 전역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기록했다. 디트로이트와 시카고 등도 영하 20℃ 이하로 뚝 떨어졌다. 특히 바람이 강한 일리노이 주와 인디애나 주, 미시간 주 등은 체감온도가 영하 40~50℃까지 떨어졌다.인명 피해도 잇따랐다. 90세 노인이 눈에 묻힌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올해부터 국내에서도 백열전구 판매가 금지됐다. 동네 전파상부터 대형마트까지 백열전구가 자취를 감췄고, 대체용으로 1만 원 이하의 LED 전구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LED 전구 열풍이 양계 농가에서는 훨씬 전부터 불었다.LED 전구가 양계장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2010년 즈음이다. 당시 양계장은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온 것이 철학의 역사였고 과학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역사였다.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은 물이라고 했다. 엠페도클레스는 여기에 흙, 불, 공기를 더해 유명한 4원소설을 제기했다. 데모크리토스와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사이언스, 네이처, 셀, 그리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현재 세계 최고로 불리는 과학학술지(저널)다. 이들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는 순간, 과학자는 스타가 된다. 하지만 몇 개 학술지에 관심이 집중되는 현상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이들이 어떻게 현재의 지위를 갖게 됐는지, 이들을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마을에 고압송전탑 들어오면 죄다 암에 걸려 죽어뿐다!”고압송전탑 설치를 놓고 밀양 주민과 한국전력의 갈등이 빛어졌다. 울산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대구 지역으로 보내기 위해 밀양에 765kV 고압송전탑 52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한전이 발표하자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한전 ...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인터넷이 시끄럽다.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 일명 4대중독법 때문이다. 마약, 도박, 술과 함께 게임을 4대 중독물질로 규정한다는데 게임이 그토록 나쁜 것일까? 더구나 폐암의 원인이라는 그 나쁜 담배보다 심심할 때 가끔 하는 게임이 더 중독되기 쉬운 것일까? 도대체 중독이 ... ...
- 두 얼굴의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양자역학을 할머니가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미션이다. 하지만 우리는 양자역학 없이 하루도 살수 없다. 양자역학 없이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우선 이글을 보는 데 사용하고 있을 컴퓨터나 스마트폰부터 버리고 시작해야 한다. 과학동아를 종이책으로 보고 있다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찰나는 1초를 75로 나눈, 약 0.013초밖에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간을 말한다. 이처럼 짧은 순간은 사람의 눈으로 포착하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 짧은 순간을 ‘찰나’라는 말로 표현한다. 하지만 이런 찰나의 순간에도 수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중에는 수학으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