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개발했다고 밝혔다. 딥러닝은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지식을 배우는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 대량의 데이터에서 추상적인 패턴을 찾아내도록 한 컴퓨터 학습법이다.딥텍스트는 페이스북에 탑재돼 게시글을 초당 수천 개씩 분석할 예정이다. 개발팀은 “딥텍스트가 20개 이상의 언어를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코코넛처럼 속이 액체로 된 먹이를 먹을때에도 길다란 손가락이 유용하다. 아이아이는 인간처럼 알이나 코코넛을 들고 ‘원샷’하는 방법을 모른다. 다시 말해, 날카로운 이빨로 껍질은 쉽게 뚫을 수 있지만 속에 든 액체를 먹기는 쉽지 않다. 대신 앞니로 낸 작은 구멍 안으로 길다란 가운데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루어졌을까요? 알파고는 기보를 보고 다음 수를 예측하는 과제부터 시작했어요. 인간이 둔 다음 수를 정확히 예측하면 ‘성공’, 틀리게 두면 ‘실패’지요. 그럼 성공한 수가 더 중요한 정보로 남아요. 알파고는 이런 식으로 기보 16만 건을 학습한 뒤에 마치 사람처럼 바둑을 둘 수가 있게 됐어요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전자에서 전사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하는 리보솜이 대장균에는 1만3000개 정도 있지만, 인간의 간세포에는 이보다 1000배에서 1만 배 이상 많다. 이렇게 많은 단백질이 세포 안에서 마구잡이로 떠다니면 곤란하기 때문에 이들을 잘 정렬시킬 수 있는 구조단백질도 추가로 필요하다.단백질 숫자가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웃어보였다. 그러니까, 눈의 반 정도가 올라오고 입 모양이 웃는 모양으로 바뀌었다. 인간처럼 자연스럽게 웃는 건 아무래도 무리인 것 같았다. 윤정도 로봇과 딱히 다를 것 없이 어색하게 웃어보였다. 이 로봇과 데이트를 하는 것이 바로 이 수업의 실습이었다. 윤정이 꾸벅꾸벅 졸고 있을 때,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경기장에 서둘러 도착한 썰렁홈즈. 평소 과학에도 관심이 많은 썰렁홈즈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길 수 있을지 자신의 눈으로 꼭 확인하고 싶어 경기장을 찾았는데….“자, 그럼 먼저 인공지능 로봇 ‘바두게 다린’과 대결할 상대를 뽑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누가 이 세기의 대결에 참여하게 ...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안 되는 종족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호주 그리피스대 인간진화연구소 아담 브룸 박사팀은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소아 분지에서 키가 1m 남짓한, 현생인류의 친척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로 추정되는 70만 년 전 화석을 발견했다고 ‘네이처’ 6월 8일자에 발표했다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2011년 8월에 발사되고 5년이 흘렀다. 힉스 입자가 발견되기도 하고,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제패하기도 했던 시끌벅적한 지구를 뒤로 하고, 주노는 묵묵히 목성을 향해 달려갔다. [▼확대]2011년 8월에 지구를 출발한 주노가 오는 7월, 목성 궤도에 진입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주노는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비우고, 눈을 흐리멍덩하게 뜨고는 창문을 열어 기분 좋은 햇살에 몸을 맡기고 싶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아무것도 안한 것이 맞지만, 세포는 ‘열일 중’이다. 창문을 여는 데에도, 머리를 비우는 데에도, 감길락 말락 눈을 뜨는 데에도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모든 에너지는 세포에서, 세포 중에서도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일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 2009년 태어난 마카크 원숭이들은 별 탈 없이 잘 자랐지만 인간에서도 문제가 없으리라고는 보장할 수 없다.단 2%의 미토콘드리아도 위험하다최근에는 그간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줄기세포 실험에서도 문제가 불거졌다. 유전병 가능성이 높은 난자에 날카로운 바늘을 찔러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