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신"(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과학동아 l1997년 10호
- 17호에서 내린 서난은 "1972년 12월 여기 인간이 그의 첫번째 달탐사를 완료했다. 평화의 정신이 모든 인류의 삶에 반영되기를 기원한다"라고 쓴 깃발을 남기고 돌아옴.1973■옛소련, 살류트 2호 발사(4월3일).■미국, 목성과 토성을 탐사할 파이어니어 11호 발사(4월5일). 미국 최초의 우주정거장인 ... ...
- 성은 왜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1997년 10호
- 속하는 집단을 위한 일을 한다고 믿는 집단선택이론은 호소력이 있었다. 사람들은 단체정신이나 살신성인과 같은 이타적이고 도덕적인 행동을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이다.1966년 펴낸 ‘적응과 자연선택’이라는 책에서 윌리엄스는 집단선택이론의 논리적 오류를 밝혀냈다. 어느 생물도 자신을 ... ...
- 뇌파학습기 끼고자면 모두 우등생?과학동아 l1997년 10호
- 기기를 통해서 뇌파의 상태를 완전하게 조절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신이 고도로 집중된 상태는 알파파가 넓게 분포하는 가운데 작은 진폭의 테타파가 동시에 나타나는데, 이것을 단순한 뇌파학습기로는 유도하지 못한다.자신을 믿는 것이 가장 중요지금까지 뇌파학습기의 원리와 ... ...
- 마이크로칩에 갇힌 전자파놉티콘의 죄수들과학동아 l1997년 10호
- 하며, 복종만이 유일한 선택이다. 감시의 효율성이 큰 이러한 장치는 감옥 뿐만 아니라 정신병원, 학교 그리고 공장 등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자동적이면서도 중단없는 제도적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1백년도 더 지난 이 개념이 요즘 다시 주목받게 된 것은 프랑스의 저명한 사상가인 미셸 ...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펑크과학동아 l1997년 09호
- 건설하기 위해서는 기술 그 자체에 예속돼서는 안된다. 그런 의미에서 사이버펑크 정신은 사이버스페이스 안에만 갇혀 있어서는 안된다. 컴퓨터 앞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사이버펑크족들은 사이버스페이스와 현실의 경계를 허물고 현실로 나와서 사회에 새로운 열기를 불어넣어야 한다. 새로운 ... ...
- 나의 행복 지수는 얼마?과학동아 l1997년 09호
- 여러가지 감정이 복합돼 나타나는 높은 수준의 정신 영역인 행복. 감성공학자들이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일에 도전장을 냈다. 인간의 오감을 연구해 가장 만족스런 과학을 구현해내려는 현장을 찾아본다. ...
- 1. 당신을 해피룸으로 초대합니다.과학동아 l1997년 09호
- 사람의 감정에 대한 연구방향은 부정적인 측면에 맞춰져 있었다. 아마 기분이 너무 좋아 정신과에 상담을 하러 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긍정적인 감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시작하고 있다. 즉 불편한 감정 상태를 편안하게 만들고, 편안한 감정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 ...
- 사이버 진료시대 개척과학동아 l1997년 08호
- 병원 운영을 진두 지휘하고 있다. 병원으로 찾아오는 적지 않은 수의 환자 진료에도 정신이 없는 의사들이 ‘번거로운’ 인터넷 상담에 신속히 답하는 데는 이같은 원장의 강공이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셈. 든든한 후원에 힘을 얻은 멀티미디어 센터 소장 김영보 박사(신경외과)는 지금의 인터넷 ... ...
- 땀과학동아 l1997년 08호
- . 이 외에 긴장과 놀라움에 의해 손바닥이나 발바닥, 겨드랑이에서 땀이 분비되기도 한다(정신성 발한). 또한 음식물의 신맛이나 매운맛 등의 자극에 의해 안면에서 땀이 나기도 한다(미각성 발한).2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졌나근육운동 조절하는 묽게 탄 소금물땀의 99%는 물이다. 나머지는 나트륨(Na), ...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과학동아 l1997년 07호
- 느끼게 하는 역할은 뇌 안의 PEA나 엔도르핀 같은 화학물질이 떠맡는다. 요컨대 사랑은 정신문화의 소산임과 동시에 생물학의 문제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생물학적 관점에서 사랑은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다. 종의 보존을 위해 사랑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라야 자식의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