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는 지금 구제역 비상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감염될 수 있다.구제역 바이러스의 평균 잠복기는 3-8일 정도. 발병하면 가축의 입과 발굽
주위
에 물집이 생기면서 여러 증상들이 나타난다(그림). 다행히 구제역에 걸린 가축의 치사율은 어리거나 늙은 동물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은 편이다. 건강한 가축은 마치 감기에 걸렸다가 자연히 회복되는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초승달은 하늘 높이 떠 있게 그려도 안된다. 이처럼 잘못 인용되는 달의 모습을 우리
주위
에서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달의 운동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기로 하자.★ 어제 밤 21시 남쪽 하늘에 달이 그림처럼 위치하고 있었다. 문제(1)-(3)은 정답에 가장 가까운 그림을 보기에서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카드를 폐쇄시킬 수 있었을까. 이처럼 신속할 수 있다는 사실에 나는 경악했다.그 후에
주위
한국 분들과 얘기를 나누다가 이같은 일이 심심치 않게 벌어진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리고 한결같이 여러 민족의 전시장인 뉴욕시에서의 별난 경험과 전화회사의 신속함에 혀를 내둘렀다.그때가 1992년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그러나 조금 여유를 가지고
주위
를 둘러보면 세상은 정말 다양한 색깔과 모양으로
주위
에 펼쳐져 있다.인간의 눈은 1만7천가지의 혼합색을 구별한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이 아름다운 세상을 볼 수 있는 정밀한 눈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어깨를 으쓱거릴 이유는 없다. 인간이 보는 세상은 단지 0.4-0.7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가진다고 설명했다.정단장이 세계 최초로 인공씨감자를 개발한 이후에는 오히려
주위
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특히 중국 대련 농업연구소의 장화명 박사가 정단장의 혜택을 받았다. 처음에 장박사는 좋은 품종의 감자를 개발했지만 기존의 기술로는 농민들이 종자를 구하는데 10-15년이나 걸리기 ... ...
노우드 핸슨의 발견의 유형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같이 티코 브라헤는 지구는 고정돼 있고 나머지 모든 천체가 이 지구의
주위
를 회전한다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케플러와 티코는 새벽녘에 동쪽 하늘로부터 동일한 것을 보고 있는 것인가?그는 지각 경험이 이론이나 개념 또는 배경지식에 의존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관찰이 이론과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있으며 크레이터 가운데에는 1백20m 높이의 봉우리가 솟아있다. 보름달일 때는 크레이터
주위
로 길게 뻗어나가는 여러 갈래의 빛줄기(광조)가 뚜렷이 보인다.(2) 클라비우스 크레이터 (지름 2백25km, 월령 8-23일)클라비우스는 달의 앞면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크레이터다. 안쪽에는 작은 크레이터가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때문에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그러나 작은 면적이지만 피부 밑의 조직이
주위
환경에 노출된 상태이고, 이런 상처를 통해서 변형 프리온이 침투한다면 vCJD에 걸릴 수도 있지 않을까.또 의약품은 그야말로 사람들이 구강으로 섭취하고 상처에 직접 바르기 때문에 화장품보다 더 신중히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복판에 검은 옷을 입고 반쯤 몸을 일으킨 사람이 드루시아나다. 요한은 왼쪽에 섰다.
주위
에 몰려든 사람들은 기적 장면을 가만히 지켜보거나, 깜짝 놀라는 표정을 짓는다. 다른 사람들한테 기쁜 소식을 알리려고 걸음을 급히 재촉하는 사람도 보인다. 이 작품에서 눈길을 끄는 건 아무래도 배경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울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자극하면 눈꺼풀에 퍼져 있는 모세혈관의 벽을 통해 조직액이 상당량 흘러나와 눈꺼풀
주위
의 피부 세포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된다.조직액은 혈액 중에 있는 수분으로, 대개는 모세혈관 속에 들어가거나 림프관에 흡수되기 때문에 피부에 축적되지 않는다. 하지만 피부가 어떤 자극을 받았을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