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변 환경을 새로 기억하는 거죠. 이렇게 하면 앞을 보지 않더라도 거꾸로 정확히
집
을 찾아갈 수 있답니다. 바이어드 교수는 제가 태양의 위치만으로 진행하던 방향을 기억한다고 말했어요. 또 구름 낀 날에 약한 태양빛을 이용해 마치 나침반을 든 것처럼 제가 길을 찾는 걸 보고 감탄하기도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신기하다고 감탄하고 있었는데…. 따뜻한 물로 샤워를 마무리하고 나오면서 문득 우리
집
은 언제 태양 에너지만을 이용해 살 수 있을지 생각해 봤어. 만약 그게 가능하다면 앞으로 전기나 가스가 다 닳아 없어질 걱정은 안해도 되지 않을까? 더불 어서 전기 요금이나 가스 요금도 안 내고 말이야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소?”“타임머신 만들다가 문제가 생겨서요(과학동아 2011년 11월호 ‘타임머신 특
집
’).”“무슨 머신?”“그런 게 있어요.”청년은 몸을 숙여 내게 얼굴을 가까이 들이대었다.“제가 확인하는 법을 생각해 봤는데요.”“뭔데?”“인공 뇌로 옮겨가면서, 원래 몸을 폐기하지 않는 거예요. 그리고 ... ...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척을 한다.[2008년 중국 베이징올림픽을 치렀던 워터큐브는 대표적인 쿠션빌딩이다. 벌
집
처럼 생긴 철골에 공기쿠션 634개를 끼워 넣어 지었다. 수영장 내부(왼쪽사진)에서도 쿠션이 보인다.]쿠션빌딩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곳이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치른 국립수영경기장(워터큐브)이다. 워터큐브는 ... ...
선 연결 없이 노트북 화면이 50인치 TV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통신하는 시대도 멀지 않았다.상상해 보자면 이렇다. 3시간이 넘는 분량의 영화를
집
에서 TV로 보다가 약속 시간이 다가왔다. 재빨리 준비해 가까운 지하철역으로 가는 도중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계속 시청한다. 지하철을 타는 동안에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패드로 보다가 레스토랑에서 만난 친구와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같은 맥락이다. 도고읍내중심가는 1970년대 지어진 중국
집
과 다방, 대포
집
(술
집
) 등의 건물이 지저분하게 방치된 상태였다. 이를 한국근대문화를 느낄 수 있는 의미있는 지역으로 바꿨다. 페인트를 묻혀 손으로 쓴 간판은 약간만 수리하고 나무 전봇대와 녹슨 자전거, 서커스 천막을 함께 배치해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록한 자료를 보면 에디슨이 장애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알 수 있다. 당시 에디슨의
집
에서는 누군가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었다. 에디슨은 피아노 소리를 듣기 위해 그 피아노를 이로 깨물고 있었다. 마치 어류가 턱뼈를 이용해 소리를 느끼는 것처럼 치아를 통해 진동을 내이로 전달해 연주 소리를 ... ...
Intro. 쿠션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교통사고가 났을 때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수준을 넘어, 쿠션으로 배를 달리게 하고
집
을 짓고 도시를 띄우려 하고 있다. 쿠션의 기상천외한 변신, 과연 어디까지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쿠션 테크놀로지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디선가 빨간 공이 날아와 우산에 부딪혔다. 아이가 깜짝 놀라 놓쳐버린 우산이 그만 뒤
집
혀버렸다! 주황 색소와 노랑 색소를 한 방울씩 떨어뜨린 다음, 빨강 색소를 떨어뜨렸다. 아직까지 물에 닿지 않은 빨강 색소가 공처럼 떴다.➐ UFO 착륙(Vegetable Bowl)움푹 들어간 그릇 모양의 UFO가 사뿐히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독특한 패턴을 보이는데 그 원인을 몰랐던 것. 이런 저런 수식을 적용하며 3개월간
집
요하게 매달린 끝에 마침내 패턴을 설명하는 모델을 만들었다.지도교수인 이홍희 교수에게 결과를 보여주자 그럴듯하다며 당장 논문을 쓰라고 했다. 3월 논문을 완성해 저명한 학술지인 ‘응용물리학저널’에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