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원통을 만지는 느낌으로 돌아오지요. 이처럼 손가락 끝에 가해지는 인공촉각이 실제와 차이가 있더라도, 시각과 결합되면 사용자는 인공촉각을 더 실제처럼 느낄 수 있게 됩니다.그림으로 뇌를 속인 뒤에는 손가락 끝에 자극을 약간 주면 됩니다. 박연규 박사팀이 개발한 촉각마우스에는 네 가지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구성된 알고리즘 기사는, 풍부한 정보와 깊이를 담고 있는 인간이 쓴 기사와는 분명 차이가 있다. 하지만 알고리즘 기자를 감히 상상도 못했던 예전을 생각하면, 정말 놀라운 일이다. 그렇다면 언젠가 알고리즘 기자가 인간 기자를 온전히 대체하게 될 날도 찾아오지 않을까? 운전을 못해도 알아서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2013년 8월 기준으로 서울의 지중화율은 88.2%, 밀양이 있는 경남의 지중화율은 2.7%로 33배나 차이가 난다.하지만 지중화가 반드시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장은 흙이나 돌로 가린다고 줄어들지 않는다. 수십m 높이의 철탑에 매달린 송전선이 수m 깊이의 땅 속에 묻히면 사람과 실제 거리는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많이 싣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셀에 게재되는 논문은 1년에 375편이다. 격주간과 주간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1년에 1000편 내외를 게재하는 사이언스나 네이처보다 적다.PNAS는 셀과 정반대의 전략을 취했다. 게재 논문 편수를 늘린 것. PNAS에는 1년에 3700편의 논문이 게재된다. 최근 PNAS에 논문을 실은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들어 있지. 단백질 용액이 담긴 뚜껑을 덮어 비커를 밀봉하면 두 용액 사이의 농도 차이로 단백질 용액의 액체가 아주 천천히 증발한대. 이 때, 단백질 용액을 공기 중에 두고 증발시키지 않는 이유는 액체의 증발이 천천히 일어날수록 단백질 결정이 더 잘 만들어지기 때문이야. 액체가 증발하면서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물리를 할 수 있겠구나’하고요. 다른 나라에 가서야 그런 기회를 얻는 것과는 하늘과 땅 차이에요. 그런데 이제 우리도 가능하게 됐어요. 실험과 이론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온 거예요.”김 팀장은 인터뷰 끝에 “개인적으로 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인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모두 아주 작은 점이에요. 하지만 실제는 그 크기와 거리가 조금씩 다른데 우리 눈이 그 차이를 잘 알지 못하는 거죠. 점으로만 보이는 별은 공기가 흔들리면 쉽게 방해를 받아 별빛이 사라졌다 나타난답니다. 반면 행성은 거리가 가까워 상대적으로 별보다는 커 보이고, 지구에서 볼 때 별보다 더 ... ...
- 굴 vs 전복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들어 있길래 “와~ 전복이다!”라고 했더니 엄마께서 오분자기래요. 전복과 오분자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박지혜(안양 부림초 5)A. 전복은 껍데기에 난 구멍이 깔때기처럼 위로 튀어나와 있지만 오분자기의 구멍은 비교적 평평해요. 또 오분자기의 껍데기는 전복보다 매끈하지요. 전복의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8월 북극 사진과 올해 8월 북극 사진을 비교하면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만큼 얼음 면적이 차이 나요. 특히, 캐나다와 알래스카, 러시아 세 나라에 둘러싸인 바다 근처 얼음이 눈에 띄게 많아졌네요. 가만 보자. 92만 평방 마일이면…, 약 240만㎢나 되는 면적이에요! 240만㎢면 남한 면적의 24배 정도나 ... ...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받은 뒤 1주일 만에 죽었지만, 오페라를 들려 준 생쥐들은 무려 3주나 더 살았어요. 차이가 얼마 안 난다고요? 아니에요. 생쥐에게 2주일은 사람에게 1년일 수도 있거든요. 음악으로 뇌를 자극해 뇌가 몸의 면역체계를 조절했고, 덕분에 염증반응이 줄어 더 오래….물리학상사람도 물 위를 걸을 수 있다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