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우주 팽창 속도는 느려졌다. 미묘하게 보이지만, 우주의 탄생과 운명을 바꿀 수 있는 큰 차이였다.하지만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 데이비드 스퍼겔 박사팀이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플랑크는 전체 우주에서 날아오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9개)의 전파를 관측해 우주배경복사를 측정했는데,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많이 싣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셀에 게재되는 논문은 1년에 375편이다. 격주간과 주간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1년에 1000편 내외를 게재하는 사이언스나 네이처보다 적다.PNAS는 셀과 정반대의 전략을 취했다. 게재 논문 편수를 늘린 것. PNAS에는 1년에 3700편의 논문이 게재된다. 최근 PNAS에 논문을 실은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입자들(즉 표준모형의 입자들)은 자신과 스핀이 1/2만큼 차이가 나는 짝(초짝)을 하나씩 갖고 있다. 아직까지 이런 입자들을 발견하지 못한 것은 그 짝의 질량이 너무 무거워서 지금의 기술로는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초대칭 이론에서는 힉스 입자의 질량에 대한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연구해왔다. 박쥐는 신기하게도 겨울잠을 잘 때나 여름에 활동할 때 근육조직과 근력에 차이가 없다. 근육을 전혀 쓰지 않아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말이니 헬스장에서 힘들게 운동하는 사람들이 들으면 눈이 뒤집히고 기가 막힐 일이다. 박쥐가 겨울잠을 잘 때 근육이 위축되지 않는 이유는 ... ...
- 차세대 ‘레이저’ 입자가속기, 한국이 주도한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수백 배 강력한 수준인) 수PeV급의 가속기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방식의 차이로 아직 중이온 가속은 불가능한 게 흠이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27일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2013년 8월 기준으로 서울의 지중화율은 88.2%, 밀양이 있는 경남의 지중화율은 2.7%로 33배나 차이가 난다.하지만 지중화가 반드시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장은 흙이나 돌로 가린다고 줄어들지 않는다. 수십m 높이의 철탑에 매달린 송전선이 수m 깊이의 땅 속에 묻히면 사람과 실제 거리는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모두 아주 작은 점이에요. 하지만 실제는 그 크기와 거리가 조금씩 다른데 우리 눈이 그 차이를 잘 알지 못하는 거죠. 점으로만 보이는 별은 공기가 흔들리면 쉽게 방해를 받아 별빛이 사라졌다 나타난답니다. 반면 행성은 거리가 가까워 상대적으로 별보다는 커 보이고, 지구에서 볼 때 별보다 더 ... ...
- 굴 vs 전복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들어 있길래 “와~ 전복이다!”라고 했더니 엄마께서 오분자기래요. 전복과 오분자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박지혜(안양 부림초 5)A. 전복은 껍데기에 난 구멍이 깔때기처럼 위로 튀어나와 있지만 오분자기의 구멍은 비교적 평평해요. 또 오분자기의 껍데기는 전복보다 매끈하지요. 전복의 ... ...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연구, 2013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받은 뒤 1주일 만에 죽었지만, 오페라를 들려 준 생쥐들은 무려 3주나 더 살았어요. 차이가 얼마 안 난다고요? 아니에요. 생쥐에게 2주일은 사람에게 1년일 수도 있거든요. 음악으로 뇌를 자극해 뇌가 몸의 면역체계를 조절했고, 덕분에 염증반응이 줄어 더 오래….물리학상사람도 물 위를 걸을 수 있다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8월 북극 사진과 올해 8월 북극 사진을 비교하면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만큼 얼음 면적이 차이 나요. 특히, 캐나다와 알래스카, 러시아 세 나라에 둘러싸인 바다 근처 얼음이 눈에 띄게 많아졌네요. 가만 보자. 92만 평방 마일이면…, 약 240만㎢나 되는 면적이에요! 240만㎢면 남한 면적의 24배 정도나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