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SA
뉴스
"
미국항공우주국
"(으)로 총 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6.10.30
달에서 비교적 최근에 생긴, 가장 크고 보존 상태가 좋은 크레이터 중 하나다. ‘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탐사선 ‘중력 복원 및 내부 실험실(GRAIL·그레일)’을 이용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어 오리엔탈에 관한 새로운 연구 논문 2편을 ‘사이언스’ 28일자에 실었다. 보통 크레이터는 ... ...
우주 망원경에 귀신이 포착됐다고?
2016.10.30
성운 안에서 태어난 별들이 강한 열을 주변으로 뿜어내면서 빚어낸 모습이다. -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핼러윈을 앞두고 ‘우주 귀신’의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NASA의 적외선 우주망원경 ‘스피처’가 찍은 사진으로 움푹 파인 두 눈과 무서운 소리를 지르는 듯한 입을 지녔다. ... ...
노르웨이의 독수리 오로라 포착
2016.10.29
팝뉴스 제공 지난 23일 미국 항공우주국 오늘의 천문학 사진 사이트가 선정한 ‘오늘의 사진’이다. 눈부시다. 예술적이다. 자세히 보면 어둠을 뚫고 세차게 오르는 새 같다. 사진은 ‘독수리 오로라’라 불린다. 암흑 세상을 뒤흔들며 날개짓하는 독수리의 비상이 눈앞에 펼쳐져 있는 것 같다. 노 ... ...
NASA vs 스페이스X “화성 땅 첫 발자국은 우리가 먼저”
2016.10.28
수 있을까. 현시점에서 가장 빨리 화성에 도달할 나라는 미국이다. 먼저 미국 정부, 즉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꼽힌다. 여기 질세라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도 화성 유인 탐사를 준비하고 있어 둘 중 누가 먼저 화성에 도착하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증된 기술 통해 확실하게 도전 NASA는 ... ...
시민 1만 명, 집단지성의 힘… 화성서 새 탐사 지점 찾았다
2016.10.24
다리 모양으로 길게 표면으로부터 긴 구멍이 나 있다는 데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화성에서 새 탐사 지점을 찾는 데 시민의 집단지성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NASA는 1만 명의 시민 자원봉사자들이 화성의 남극 지역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 화성 ... ...
알고 보면 더 신기한 ‘더블 이클립스’
과학동아
l
2016.10.21
NASA,SDO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9월 1일 ‘더블 이클립스(double eclipse)’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더블 이클립스는 지구와 달이 태양을 동시에 가리는 현상으로, 지구가 태양활동관측위성의 시야를 가리며 지나가는 동안 달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매우 드문 이벤트다. ... ...
과학자들은 ‘눈’이 아니라 ‘귀’로 본다?
2016.10.21
이 전파를 수신해 소리로 바꾸면 별을 관측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최초의 장거리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가 수집한 우주전파를 분석해 태양계 각 행성들이 내는 소리를 공개하기도 했다. 이런 ‘별의 소리’는 실제로 작곡을 할 때 쓰이기도 한다. ... ...
화성에서 성벽 도시 발견? ‘논란’
2016.10.18
잠시 벗어나 팝뉴스가 전하는 가벼운 소식을 사진과 함께 ‘가볍게’ 즐겨 보세요~!
미국항공우주국
의 화상탐사 로봇 큐리오시티가 10월 2일 촬영한 이미지에서 ‘성벽을 쌓은 도시’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나와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화성 성벽 도시’를 발견한 네티즌은 평범해 보이는 ... ...
태풍과 인류: 태풍에 대비하는 건강한 마음가짐
2016.10.06
지진의 공포가 한반도를 사로잡은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이제 태풍 차바입니다. 제 18호 태풍 ‘차바’가 제주도 및 남해안을 휩쓸면서 상당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미 여럿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고, 수많은 가옥과 차량이 침수되었습니다. 강한 바람으로 인해서 건물도 부서지 ... ...
NASA가 중대발표란 이름의 ‘낚시’를 하는 이유
2016.09.27
26일 공개한 유로파의 사진. 왼쪽 아래 부분에 수증기 기둥이 있다. -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6일 목성의 위성 ‘유로파’의 지표면에서 200㎞ 높이로 수증기가 분출하는 모습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를 놓고 각계에선 ‘NASA가 또 한 번 낚시에 성공했다’는 비아냥이 나오고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