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른손-왼손 대칭 같은 괴짜물질 광학이성질체 쉽고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심지어 독성을 보이기까지 해 구분이 필수다. 광학이성질체는
빛
을 통과시켰을 때
빛
이 편광되는 현상인 ‘광학활성’의 방향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광학활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가 주로 쓰인다. 일본이 세계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분야다. HPLC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있는 은하 등 천체의 기초가 된 우주물질이 됐다. 이 물질이 이루는 거대구조의 규모는
빛
이 수백만 혹은 수천만 년을 가야 하는 거리만큼 크다. 또 밀도의 차이는 있지만 눈에 보이는 천체 현상도 아니다. 피블스가 연구할 1970년 당시 아무도 이 주제에 주목하지 않았던 이유다. 하지만 피블스는 ... ...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일어난 지 약 40만 년 뒤에는 우주가 약 3000K 만큼 식고 투명해졌다. 그리고 여러가지
빛
과 방사선들이 우주 공간을 여행할 수 있었다. 현재 우주는 약 2.7K 정도로 매우 차갑다. 물질과 방사선이 분리되면서 1100K이나 더 낮아졌다. 우주가 탄생할 때 생겨났던 고대 방사선(우주배경복사)은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찾아냈다. 행성의 공전을 이용하는 방법은 행성이 지구로 다가올 때 행성이 반사하는
빛
의 파장이 미묘하게 변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찾는다. 도플러 효과는 관측자나 관측 대상이 움직일 때 둘 사이의 거리가 바뀌면서 파장이 바뀌는 현상이다. 외계행성의 발견은 우주 관측기술의 ... ...
로봇이 심리학의 실험쥐를 대체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버러스 스키너의 ‘스키너 상자’ 실험을 재현했다. 스키너 상자는 실험 동물에게
빛
이나 소리 신호와 같은 특정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특정한 동작을 학습시켜 조건형성을 연구할 수 있는 실험 기구다. 예를 들어 새장 안의 참새가 특정 장소로 이동하면 전기 충격을 주고 새장 안의 노란 버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수 없지만 뭔가 불편하다’고 느끼게 되는 것 아닐까. 반면 파란
빛
의 비율이 낮은 노란 불
빛
은 SCN을 덜 자극해 밤이 깊어질수록 점점 더 아늑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일상생활에서 관찰되는 사소한 변덕까지 수십 억 년 지구 자전의 역사에 맞춰 진화한 생체시계의 입김이 작용한 결과라면 우리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교수, 그리고 게로 미센보크 영국 옥스포드대 생리학과 석좌교수 등 세 사람은
빛
을 쪼였을 때 이에 반응하는 이온채널을 발견해, 신경세포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맞춤형 의학 시대 연 인간 게놈 프로젝트 제이슨 쉘처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연구원은 올해 노벨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후보로 올랐지만 올해는 없다. 가장 먼저 발표되는 생리의학 분야에서는 뇌세포에
빛
스위치를 달아 활성을 조절하는 신경과학 기술인 ‘광유전학’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노벨상에서 가장 강세를 보이는 유전학 분야가 광학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한 셈이다. 칼 다이서로스 미국 ... ...
[2019 노벨상] 대학원생 업적, 정년 이후 연구로도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5
‘세월’ 탓을 해도 좋겠다. ●새옹지마 극과 극, 대학원 시절 연구 31년 뒤 '
빛
' vs. 만년 무명 연구자 정년 뒤 '역전홈런' 반면 22년이 지난 연구로 노벨상을 기대하는 학자라면 노벨상판 ‘대기만성’을 기대하며 조금 더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다. 지난해 광학 집게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 ...
[프리미엄리포트] 2100년 현존 언어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05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는 최무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가령 '광자'는 '
빛
알'로, '참(Charm) 쿼크'는 '맵시쿼크'로 바꿔 쓰고 있다. 그는 "예를 들어 물리학 용어인 '회절'은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려운데, 1995년 물리학 용어집 작업 중 '에돌이'라는 우리말 표현이 잘 들어맞는단 생각을 했다"고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