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175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08
중국의 마스코트인 귀염둥이 판다의 수가 10년 사이에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무엇이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가?중국 사천성(四川省) 한 가운데 ... 못하고 있다."아마 1, 2백년은 지나야 판다 보호정책의 성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사천성
난
총대학의 판다연구가인 후진추의 비관적인 견해다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08
부른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 섭입대를 해저확장설로 설명하고 있다. 즉 해령에서 태어
난
새로운 지각물질이 긴 항해끝에 해구에 도달해 맨틀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서 수행된 지질학 여러 분야에서의 연구결과는 1960년대 말에 새로운 지구운동이론을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08
있을 때에는 강물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정지됐을 테지만, 일단 용암대지가 형성되고
난
다음에는 강물이 대지 위를 흐르게 되었다. 그런데 이 용암대지라는 새로운 하상면을 따라 흘렀던 강은 하상(河床)의 평탄함과 낮은 경사도로 인해 용암분출 이전의 하천과는 사뭇 다른 양식으로 운동할 수 밖에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08
단층촬영 결과가 로보닥의 컴퓨터에 입력된다. 그러면 로보닥은 모니터 화면에 나타
난
3차원 영 위를 면밀히 살펴 정확한 작업 부위를 확인한다. 이제 준비완료 로보닥은 눈이 없기 때문에 의사가 미리 세개의 금속핀을 환자의 대퇴골에 삽입해 두는데, 로보닥은 이 세 핀을 기준삼아 위치를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07
이수해야 한다.'지금 유학 현장에서는'이라는 제목의 글을 '과학동아'로부터 부탁받고
난
뒤의 몇 주는 이제 근 6년에 접어드는 나의 독일 유학생활을 다시 한번 정돈해보는 기회가 되었다.유학이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의 특권인 양 여겨졌던 과거와는 달리 많은 사람들이 유학을 하고 있는 요즘에,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06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복잡한 인종적 구성은 이 호수가 17세기에 러시아인들에게 발견되고
난
이후의 일이다.러시아인 진출 이전까지 이곳에는 수렵생활을 하던 퉁구스족과 목축생활을 하던 부리야트족이 살고 있었다. 퉁구스족은 우리 한민족과 동일한 언어집단에 속하는 민족으로 수천년 전부터 이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06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문제를 들고 지도교수를 찾아가서 상의하면 교수는 다 듣고
난
후에 함께 문제를 간단하게 요약해준다. 어떻게 풀어야 한다는 이야기는 없다. 학생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뜻이다. 잦은 국제학술교류로 견문 넓혀웁살라는 스톡홀름 북쪽 65㎞에 위치하고 1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05
감마선우주망원경 등을 지구궤도위에 올렸고 구명줄 없는 우주유영을 실현시켜 고장
난
인공위성을 수리하는 등 '유일한' 우주교통수단으로서 진가를 발휘했다.이러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술적 신뢰도가 100%에 이르지 못했다는 점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새로운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05
있다. 부산공해추방 시민운동협의회, YMCA, 천주교 정의구현 부산연합 등 20개 단체들은 지
난
해 9월 '인공섬문제 시민대책협의회'를 결성, 이 공사가 강행될 경우 서명운동 공청회 등을 열어 인공섬건설을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05
몰두하고 있다. 그 후 필자는 고국으로 돌아와 한국 과학기술원에 근무하게 됐는데 지
난
해 가을 미디어연구소 개소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게 되었다.이틀에 걸쳐 진행된 행사는 심포지움이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소의 12개 연구실에서 실별로 발표가 있었다. MIT총장의 경축사에 이어, 우리에게도 잘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