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정"(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일유학일기] 8학기 만에 졸업하면 ‘선방’ 어렵기로 악명높은 자연계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수학과는 수업이 4종류로 구성돼 있다. 교수가 이론을 설명하는 강의(Vorlesung), 박사과정중인 조교가 과제를 풀이해주는 연습(Übung), 학과 선배들이 조교가 내준 문제를 채점하고 실용적인 팁을 알려주는 소규모 수업인 튜터(Tutorium), 그리고 학생들이 교수 지도하에 한 주제를 심도 있게 파고드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내린 커피 한 잔 하실래요?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원두를 잘게 간 가루를 넣고 물을 부어 커피 원액을 뽑아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만약 이 과정에 수학을 더하면 어떨까요? 제이미 포스터 영국 포츠머스대학교 수학 및 물리학부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 연구진이 수학 모형을 이용해 커피를 효율적으로 내리는 방법을 찾아 국제학술지 ‘매터’ 1월 2 ... ...
- [교육뉴스] 교육부, 2020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발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중 학생이 자율적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보고서를 작성한 자율탐구활동은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사교육 개입 없이 학생주도로 수행한 활동만 기재할 수 있습니다. 즉 학교에서 이뤄진 활동임을 증명해야 하며, 소논문 실적은 적을 수 없습니다. 또 독서 활동 상황에 기록할 수 있는 도서를 ‘ISBN에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보글보글 인생라면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알려주는데요, 바로 간짜장 라면과 짬뽕 라면 레시피였죠. 유산슬 라면보다 조리과정은 간단하지만 고급스러운 맛에 유재석은 감탄합니다. 이로써 유재석의 인생라면집에는 세 가지 메뉴가 탄생합니다. 인생라면집 메뉴에 이름을 올린 세 가지의 라면 레시피에는 라면의 특징에 맞게 신라면, ... ...
- 수학 못하면 용접이나 하라고? 용접하려면 수학이나 배우고 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한다. 삼각법은 삼각형의 변과 각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다. 구조물을 서로 붙이는 과정에서 사잇각이 발생하는데, 이때 구조물에 실리는 하중을 계산해야 한다.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기술자는 재료의 특성, 무게 등을 고려해 적합한 각도를 결정한다. 공식 숙지 및 기본 대수학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삶에 큰 지장이 없고, 할 수 있는 일이 수두룩합니다. 오히려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어요. 용어정리* 컨설팅 : 어떤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이 상담을 통해 도와주는 일.* 소비재 : 일상생활에서 쓰는 물건 ... ...
-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110+11=121로 대칭수가 됩니다. 89는 과정을 24번이나 반복해야 대칭수가 되죠.하지만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해도 대칭수가 나오지 않는 수가 있었으니, 바로 196입니다. 대칭수를 만들지 못하는 수를 ‘라이크렐 수’라 부르는데, 196을 가장 작은 라이크렐 수라고 추정하고 있죠. 일부 수학자들은 196이 정말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면 왜 그런지 이해하는 과정이 재밌다”며 “관측 자료가 어떤 과정을 거쳐 나오고, 장비의 어떤 부품이 자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참고해 연구하는 것이 실험 천문학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두꺼비 술’ ‘장작불 ASMR’은 남극 생활 필수품천문을 관측하기 좋은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0.1073/pnas.1306263110 연구팀은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에 항체가 결합해 세포의 신호 전달 과정을 촉진하면 세포가 형광을 띠도록 만들었고, 형광을 띠는 세포만 골라 항체를 떼어내 작용제 항체만 분리했다. 예 교수팀은 이 기법으로 백혈구 증식인자(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G ... ...
- [수학뉴스]거미의 사냥 실력, 비결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퍼지는 패턴과 구조를 수학 모형으로 재현했습니다. 그 결과 거미가 먹이의 위치를 찾는 과정을 유추했지만, 역학적인 원리는 밝히지 못했습니다. 거미줄을 단순히 원과 직선의 집합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알레샨드리 카와노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메카트로닉스및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조금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