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이"(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의 빙산을 사막에 옮긴다!?과학동아 l1987년 09호
- 알맞은 빙산은 길이 5백m, 폭 3백m, 높이 30m 정도의 것이라는 것. 이정도라면 수면 아래의 깊이는 2백m가 된다. 수송도중에 태반이 녹아 예컨대 아라비아반도에 도착했을 때는 겨우 3분의1이 남지만 그래도 1천만t 이상의 담수를 얻을 수 있다.이 물은 사실상 증류수이므로 관개에 쓸때에는 바다물을 5~10% ... ...
- Ⅲ바다의 폭도-해일과학동아 l1987년 08호
- 바로 해일 내습 경고로 보고 경계해야한다.해일 경보를 발령하기 까지는 진원의 위치나 깊이등 해저 지진의 성질을 정확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러기 까지는 10몇분씩 걸리는것이 보통이다. 해일은 파도원에서 직접 오는 파도뿐만이 아니고 이쪽 저쪽 기슭에서 반사되어온 파도가 겹쳐져 ... ...
- Ⅱ바람과 바다의 협주곡-풍파과학동아 l1987년 08호
- 실험으로 살펴보자. 다음 그림과 사진은 풍동수조를 나타낸것이다. 길이 66m 폭 1.5m 깊이 1.3m의 수조 위에 풍동이 마련되어있다. 수면위로 풍속 3m/sec~30m/sec 의 바람이 불도록 되어 있다. 사진 ①②③은 바람이 나오는 입구에서 18m되는 곳에서의 파도 모양을 각각 풍속 2.5m/sec, 5.0m/sec, i0.0m/sec로 ...
- Ⅳ저기압이 만드는 높은 파도과학동아 l1987년 08호
- 풍속의 2승에 비례하나 풍향이 만축의 방향과 일치했을때 최대가 된다. 또 바람의 효과는 깊이가 낮아질수록 현저하다. 고조의 높이를 예보할때 고조도 수면으로 전해지는 파도의 일종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정진의 예에서 볼수있듯 태풍의 이동속도가 고조 파도의 자유파로서의 속도(장파의 속도 ... ...
- 일본, 가장 깊은 심해작업용 로보트개발과학동아 l1987년 08호
- 바다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이것이 처음. MARCAS-2500는 높이 1.7m, 폭 1.8m, 파고드는 깊이 2.65m이고 무게는 3.5t이다. 전동유압구동의 프로펠러가 전후 좌우 상하에 각각 2개씩 달려 있으며 시속 5.6㎞로 바다 속을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묘한 방향전환도 가능하다. 해저케이블의 조사 보수에 ... ...
-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과학동아 l1987년 08호
- 까지 내려간다. 천지주변은 영구동결층으로 덮여있다. 7~8월 여름철에도 지표면이 녹는 깊이는 80~90㎝밖에 안된다. 이따금 천지에서는 거대한 물기둥이 뽀얀 안개와 함께 하늘로 솟구쳐 오르는 돌개바람현상도 일어난다. 섭씨 73도의 온천수 솟아 백두산 천지의 서남쪽 기슭에는 섭씨 73도에 달하는 ...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과학동아 l1987년 08호
- 양식의 방식들 내수면이 계속 흘러가는 강물인가, 아니면 고여 있는 물인가, 물의 깊이와 규모는 어떤가 등등의 조건에 따라 양식방법이 결정되는데 현재 가장 대표적은 양식형태는 가두리망 설치, 지수지 또는 유지, 온실가온지, 유수지, 순환여과식 등을 꼽을 수 있다. ■가두리 양식 소양호 ...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용이하나 재배시 여러가지 난점이 생기므로 씨앗을 채취한 후 직접 파종하거나 또는 60cm깊이에 노천매장했다가 3월 중순경 비닐하우스내에서 소독한 상토(床土)에 가볍게 묻어주는 방법이 있다. 이외에도 씨앗채취 후 건조시켰다가 톱밥에 섞어 섭씨 2~4도의 냉장고에서 60일간 저온 처리하여 3월에 ...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과학동아 l1987년 07호
- 불리는 폐질환으로 죽어갔다. 제2차 세계대전까지만 해도 석면의 위험성에 대해 깊이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석면광산이나 석면 제품 공장에서의 노동조건은 말할 수없이 형편없었다. 석면 노동자들은 엄청난 석면먼지(분진)로 오염된 작업장에서 일하면서 공기중에 떠돌아 다니는 미세한 ... ...
- 바닷속 신비 산호초과학동아 l1987년 07호
- 것이다. 조초산호는 푸르고 맑으며 염분이 짙은 수온 섭씨 22도정도의 바다에서도 1백m깊이의 곳에서 밖에 살수없다. 그래서 남·북회귀선(回歸線·적도를 중심으로하여 남북 각 23도27분이되는 위도선)사이의 해역에 많다고 하는데 한류가 흐르는 곳에서는 볼수없다. 따라서 반대로 남북회귀선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