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8. 한국 수학의 밤수학동아 l2010년 10호
- 관련된 문화프로그램과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프로그램이 없다는거야! 우리나라에서 할 때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으면 좋겠어.나도 열심히 수학공부해서 4년, 8년, 12년…, 뒤에는 당당하게 국제수학자대회 무대에 오르고 말거야! 강연자로, 아니 필즈상 수상자로 말이지! 필즈상 수상자 ...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미국의 수학교육’을 다루지 않았다.우리학교 선생님, 외국학교 선생님 되다우리나라의 수학 선생님이 외국 학생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이 시작됐어요. 전국에서 훌륭한 수학 선생님 10명을 선정해 캐나다와 영국으로 파견했답니다. 8월 말 캐나다에 4명, 9월 말 영국에 6명의 선생님이 현지 학교에 ... ...
- function과 函數수학동아 l2010년 10호
- ‘가구가락’이다. 맥도날도는 麥當勞(맥당노), KFC는 肯德基(긍덕기)라고 한다. 남의 나라 이름도 예외는 아니다.프랑스는 佛蘭西(불란서), 네덜란드는 和蘭(화란), 도이칠란트는 獨逸(독일)이라고 바꿔부른다.그럼 사람 이름은 어떨까? 마찬가지다. 뉴턴은 牛頓(우돈), 아인슈타인은 愛因斯坦 ... ...
- Part 3.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수학동아 l2010년 10호
- 한글은 만들어진 지 500년이 넘었지만 첨단 시대에도 잘 어울려. 소리도 다양해 다른 나라 언어를 표현하기에도 좋고 말이야.Re: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한글로 만들 수 있는 글자 개수와 소리 개수를 알고 나니까 한글은 정말 세계적인 문자로도 손색이 없는 것 같아. 또 컴퓨터와도 잘 어울리는 ... ...
- 변화를 분석하는 도구, 미적분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어떤 함수를 적분한 뒤 미분하면 본래 함수로 되돌아 온다.비슷한 시기에 서로 다른 두 나라에서 미적분을 발견했다는 점은 신기한 일이다. 그래서 오랜 기간 동안 미적분 발견의 주인공을 두고 영국과 독일이 대립했고,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란이 있었다.미적분을 먼저 발견하고 역학에 ...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모른 체 한다. 한 나라 사람끼리는 자기 나라 욕을 하다가도 다른 나라 사람이 자기 나라를 비난하는 걸 보면 분노가 일어난다.애국심이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이 전쟁이다. 자기 집단(예를 들어 국가)을 지키기 위해 다른 집단에 맞서 싸우다 목숨을 바치는 건 명예스런 행위로 추앙받는다. ...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나라, 아스카 시대 유적에는 백제의 건축양식이 숨어있다. 백제 기술자들의 손으로 일본 나라시에 건축한 법륭사를 촬영해 오기도 했다. 이런 사진들은 복원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귀한 자료가 됐다.다음 단계로는 ‘실사 촬영’이 필요했다. 스토리가 있는 생생한 복원을 위해서는 영상 내에 ...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예외로 허용한다. 하지만 휴대전화로 인터넷은커녕 전화통화도 할 수 없다. 우리나라 2세대 휴대전화 방식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과 정보를 예로 들면 이 방식은 사람의 음성과 정보를 수십만 개의 조각으로 잘게 나눠서 무선주파수에 실어 전송한다. 그리고 이 조각을 다시 순서대로 조립해서 ...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도형아, 이 선생님은 말이다. 여행을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그 나라의 문화를 체험하는 거라고 생각한단다.”“그래서요?”“에헴, 그 문화를 체험하는데 가장 유용하고 편리한 방법이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 봤단 말이야. 그래서 얻은 결론이 뭔고 하니. 바로 음식이라는 거지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연월기록’이라고 썼다. 연월기록이 두꺼워질수록 지오의 생각도 깊어 갔다. 지오의 나라도 마음 속에서 점점 커져만 갔다.* ‘한국 수학사(김용운·이소라 저)’ 내용을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