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뉴스"(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항문 먼저 입 나중’ 초기 후구동물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이한 모습의, 모래알만 한 고대 미생물 화석이 발견됐다. 이 생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후구동물(수정란의 초기 배아 단계에서 항문이 먼저 생기고 입이 나중에 생기는 동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물고기의 조상으로 추정된다.중국과 영국 등 공동연구팀이 중국 중부 산시 성에서 발견한 고대 미 ... ...
- [교과연계수업] 에취! 더 독해진 겨울철 독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유를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6학년 생물과 우리 생활5. 수업 지도 순서독감 관련 뉴스를 찾아 영상을 보면서 겨울철 독감 환자가 많은 문제를 인식한다 ▶ 독감의 정체를 알고, 헷갈리기 쉬운 감기와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독감이 왜 겨울철에 더 유행하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 어떤 ...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래 그림은 19세기 영국 화가 윌리엄 터너의 라는 작품이에요. 그는 빛과 색채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새로 개발한 유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렸어요.당시 유화 물감은 보통 씨앗의 기름과 안료를 갈아 만들었어요. 하지만 마르기까지 너무 오래 걸려서 하나의 그림을 완 ... ...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최근 코뿔소들이 공동으로 쓰는 대변 더미가 SNS처럼 이용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코뿔소는 코앞에 있는 물체도 구별하지 못할 만큼 시력이 나빠요. 대신 후각이나 청각이 매우 발달했지요. 그래서 남아프리카 쿠아줄루-나탈대학교와 독일 다름슈타트공과대학교 국제 공동연구팀은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2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런 걸 왜?현 : 너님이 하라고 했잖아요(22).편 : (상처받지 않는다) 뭘 들을 수 있나.현 : 뉴스를 기자의 목소리로 낭독. 일부 기사는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편 : 들어보니 재밌긴 한데…, 녹음하며 오글거리진 않았는지.현 : …너님이 하라고 했잖아요!3 편 : 그냥 가기 아쉬워, 주목할 기사를 쓴 두 ...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국내 연구팀이 한반도 상공에서 아프리카 화산재를 관측하고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대기환경’ 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노영민 GIST 국제환경연구소 교수팀은 레이저 레이다(라이다)를 이용해 2011년 한반도 상공의 성층권을 관측하던 중 6월 19일 이상 신호를 포착했다.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한국이 포함된 국제 연구팀이 약 8000년 전 신석기 시대 동굴에서 발견된 두개골의 게놈을 분석해 한국인의 유전적 조상을 찾았다고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 2월 1일자에 발표했다.러시아 극동 지방에 위치한 ‘악마문 동굴’은 1973년 처음 발견됐는데, 약 9000~7000년 전까지 인류가 살았던 것으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스마트폰 보안 패턴을 간단한 방법으로 해킹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랭캐스터대, 배스대, 중국 서북대 연구팀은 스마트폰 카메라와 컴퓨터비전알고리즘으로 설계한 소프트웨어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120개 패턴 중 95%을 해킹했다는 연구 ... ...
- [과학뉴스] 전기 없이 작동하는 메모리 소자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국내 연구팀이 전기 없이 작동하는 메모리 소자를 만들 가능성을 열었다.우성훈 KIST 스핀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팀은 ‘스핀파’로 자성체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는 기존 이론을 실제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1월 31일자에 발표했다.자성체 안에는 자기적인 상태가 같은 여러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조울증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발표했다.서판길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정훈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피엘씨감마원(PLCγ1)이라는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