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d라이브러리
"
데이터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 실험을 사람에게 할 수 있게 된 건 1990년대 이래 동물 실험을 통해 어느 정도
데이터
를 쌓은 후인 2004년이다. 2001년 강도의 습격으로 전신마비 환자가 된 미국 미식축구선수 매튜 네이글은 최초로 뇌에 전극을 이식한 사람이다. 그는 생각의 힘으로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실험에 성공했다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음성
데이터
를 보낼 때도 이런 부호화 과정을 거쳐 보내고 수신 쪽에서도
데이터
의 오류를 정정하고 음성을 듣는 복호화 과정을 거칩니다.”사용되는 곳이 많다보니 기업이나 국가 기관과 협력연구도 많이 한다. 현재도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과 함께 연구를 하고 있다. 졸업생 대부분이 굴지의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현재 수중 통신 기술 수준이 지상의 아날로그 통신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지상의
데이터
통신은 디지털화를 거치고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면서 20년 동안 무려 1000배나 빨라졌다. 수중 통신도 디지털화하고 이미 지상에 적용해 사용 중인 통신 기술을 바다 속 환경에 맞게 접목하면 빠르게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한 문제에 대해 합법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FCC는 “이용자가
데이터
를 보호하기 위해 무선랜을 암호화하는 등의 적극적인 방어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판단의 근거를 제시했다.스트리트 뷰는 인터넷에서 길거리의 모습을 360° 실사 사진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다. 360°를 촬영할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덕분에 몇 사람이 하기 힘든
데이터
분석 연구를 할 수 있었다”며 “연구 결과는물론
데이터
도 공개해 다른 집단지성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각 파장에 따라 가짜 색을 지정한 뒤 여러 장을 합성해 컬러 영상으로 만든다.둘째,
데이터
를 시각화하는 작업(data visualization)이다. 예를 들어 점과 선이 있는 그래프가 있을 때, 관련 이미지를 함께 그려 넣어서 각각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식이다. 허트 박사는 주변에 원반이 있는 ... ...
Intro. WELCOME TO
데이터
유니버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빅
데이터
’가 유행이다.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빅
데이터
를 이용한 선거 전략’이라는 말이 후보 캠프마다 심심치 않게 나온다. 경제 정책이나 마케팅 기술에도 자주 등장 ... 계속 보시려면?Intro. WELCOME TO
데이터
유니버스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
데이터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더 늘어 18해 바이트(1.8ZB)를 넘어섰다.다행히 두뇌가 만든
데이터
는 아직 인류가 처리한
데이터
보다는 적다. 320만 년 전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루시’가 태어난 이후 인류의 두뇌 속 시냅스는 1035번이라는 무시무시하게 많은 계산을 했다. 당분간 지구에서 아무리 많은
데이터
가 만들어져도 이보다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
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당일 투표 독려가 가능해졌다. 그 어느 해보다 선거 관련 빅
데이터
가 늘 것이다.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선거시대가 기대된다.2010년 7월, 유통기업 ‘이마트’가 미국산 수입 쇠고기를 한우로 잘못 표기해 판매했다. 사람들은 이 일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당신이 CEO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망원경은 남반구의 하늘을 관측한다. 웹 연구팀은 서로 다른 우주를 바라본 두 망원경의
데이터
를 하나로 펼쳐보았다. 그랬더니 α 값이 남쪽으로 갈수록 늘어났다. 우주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α 값이 달라지는 것이다.이는 현대 물리학의 뿌리를 흔들어놓는 과격한 주장이다. 장소에 따라 물리학이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