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최대규모 감마선폭발의 정체 벗기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몇가지 이론적인 추정만 됐을 뿐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천체
물리학
저널’(Astrophysical Journal)에 실린 두 편의 논문에 따르면 감마선폭발의 정체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지상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을 동원한 국제 연구팀의 관측·연구 결과, 감마선폭발 가운데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뛰어넘어 인간을 통제한다. 기계는 인간을 위해 세계를 창조했고 현실을 움직이는
물리학
의 모든 법칙들을 매트릭스에 적용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매트릭스를 현실로 인식하게 되고, 가상의 죽음을 신체적 죽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이러한 설정은 어차피 우리가 인식하는 이 세계 역시 ... ...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inter ISEF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부가 행사가 이어졌다. 달착륙선을 타고 직접 달에 다녀온 우주비행사의 강연, 1988년 노벨
물리학
상을 수상한 레더만 박사의 초청강연, 록밴드의 공연 등 이 대회는 참가자들 모두가 즐기는 축제의 장이었다. 학생들은 가족과 지도교사, 동료 등과 함께 참석해 시내의 자연사박물관을 구경하기도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새롭게 밝혀지는 천문학 연구를 통해 태양계의 안정성뿐 아니라 그 기원을 기술하는
물리학
적 설명들이 속속 제기됐다. 더이상 창조주로서의 하나님 개념은 필요없었다. 또한 생물학 분야에서는 기적을 통해서만 설명되던 많은 현상이 과학자에 의해 해명되기 시작했다. 라플라스는 모든 현상에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우선 기초적인 지식을 탄탄히 쌓는 것이 좋다. 실제로 이 분야를 연구하는 학생 중에는
물리학
을 학부로 전공한 경우가 종종 있다. 광전자의 경우, 아직 개발 단계이기 때문에 상당한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1세기를 변화시키려는 꿈을 가진 미래 과학도라면 이 분야에 도전해볼만하다 ... ...
위대한 과학자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자연에 대한 탐구를 수행해왔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1960년대에
물리학
자였다가 과학사학자가 된 토마스 쿤은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과학자들 역시 사람이며 과학자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하나의 과학 이론의 형성과 선택에는 사회적 요소가 개입된다는 점을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양자상태를 빛을 정지시켰을 때의 원자와 빛의 상호작용으로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물리학
자는 생각한다. 그리고 빛을 정지시킨 공간에서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없다. 앞으로 ... ...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 상대성이론에 어긋날까 ?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원인이 일어나기도 전에 결과가 먼저 반대편 문을 열고 나온 셈이다.이 연구가 발표된 뒤
물리학
자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 이 결과가 상대성원리와 인과율에 어긋나는 현상이 아니라는 설명을 내놓았다. 이때 펄스가 진공에서보다 빠른 까닭은 펄스를 구성하는 사인파들이 물질을 통과하는 동안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모든 과목에서 낙제 점수를 받은 아인슈타인이 우리나라에서 태어났다면 대학에 진학해
물리학
을 배울 기회를 얻을 수 있었을까.주인공의 모습괴짜 학생 vs 대학의 청소부 ▶▶▶ 영화 뷰티풀 마인드는 프린스턴대의 낡은 강의실을 배경으로 시작된다. 존 내쉬는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한 채 항상 ... ...
세명의 손자로 이어진 과학사랑 헉슬리 가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실험을 수행하는 물리 과학의 한 분야임을 강조했다. 오늘날 생물학이 자연과학대학에
물리학
및 화학과 나란히 자리잡게 된 데는 헉슬리의 공이 컸다.헉슬리가 비단 생물학 연구를 수행하거나 생물학을 옹호하는 측면에서만 과학에 참여한 것은 아니다. 그는 과학을 통한 사회 정의의 실현에도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