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사]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신경 구조를 연구하면서 골지의 염색법을 발전시킨 ‘급속 골지법’을 만들었어요. 이
방법
은 신경의 더 정밀한 구조도 염색할 수 있었죠. 그는 급속 골지법으로 다양한 신경 세포를 염색하고 이를 그림으로 남겼어요. 카할은 화가를 꿈꿨지만, 10살 때 재능이 없다는 얘기에 포기한 적이 있었어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꽃가루가 암술에 닿아야 해요. 이때 식물은 꽃가루를 다른 식물로 옮기기 위해 다양한
방법
을 쓰지요.풍매화는 바람을 이용하여 꽃가루를 날리는 종류의 꽃을 의미해요. ‘바람(風)’이 수분을 ‘중매(媒)’하는 ‘꽃(花)’이라는 뜻이죠. 비슷하게 곤충이 꽃가루를 전달하는 꽃은 ‘충(蟲)매화’,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하나의 예측 모형으로, 데이터를 여러 단계의 질문을 거치면서 분류하는 기법입니다. 그
방법
이 마치 나뭇가지 모양과 비슷해서 의사결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모형으로 특정 사용자가 앞으로 4주 이내에 게임에서 이탈할지를 얼마나 정확하게 판단하는지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 있다. 현장 조사는 인공위성 원격탐사 자료를 검증하고 보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이다. 그래서 우리 연구팀은 현장 조사도 직접 나간다. 한국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해수를 떠서 담기도 하고, 해빙 표면에서 지름 10cm의 얼음 기둥을 시추하기도 한다. 아라온호에 탑재된 ... ...
[수학뉴스] 코로나19 위기 속 기업의 우선순위는 ‘사내 방역’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수학과 교수팀은 수학 모형을 만들어 기업이 안전하게 사업을 재개할 수 있는
방법
을 연구했습니다.연구팀은 감염병 전파를 설명하는 수학 모형인 ‘SIR 모형’을 참고해 회사 내 감염자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감염자 수에 따른 회사의 순수익도 구할 수 있게 했죠 ... ...
[매스포터] 수학으로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는
방법
은?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활주로를 건설할 수 있는 후보지를 찾는 데도 유용하다. 남극 대륙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은 매우 제한적이다. 쇄빙선으로 얼음을 깨고 접근할 수 있는 시기는 얼음 두께가 비교적 얇은 남극의 여름뿐이다. 겨울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항공기를 이용해야 한다. 현재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는 해빙 ... ...
[한페이지 뉴스] 미래 식량문제, 바다가 답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는 1798년 출판된 그의 저서 ‘인구론’을 통해 미래 사회의 식량난과 인구증가의 한계를 경고했다.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98억 ... “바다에서 식량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
”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86-020-2616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연주곡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코로나19 바이러스 단백질의 구조를 귀로 듣는
방법
이 등장했어요. 지난 4월 2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다양한 돌기 단백질 구 ... 세포와 결합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음악 소리를 찾으면 되기 때문에 빠르고 직관적인
방법
”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수학뉴스] 인간 정자 움직임의 비밀, 수학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주성분 분석은 측정한 데이터의 분포를 몇 개의 벡터(주성분)로 나타내 단순화하는
방법
입니다. 그 결과 정자는 꼬리를 나선 모양으로 움직이며 머리를 회전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를 이끈 가델하 교수는 “레이우벤훅은 2차원 현미경을 사용했기 때문에 마치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