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그만큼 감로의 양도 많다. 그래서 진딧물 등 감로를 내뱉는 다른 곤충보다 피해가 큰
편
이다.명탐정의 재빠른 조사에 의하면 꽃매미는 2004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으로 피해가 접수된 시기는 2006년부터다. 그런데 2006에는 1ha*에 불과한 발생 면적이 올해에는 서울 관악구 면적과 비슷한 27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완료하면 신종플루 감염자와 사망자 수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한
편
에서는 의심환자에게까지 타미플루를 처방하면서 타미플루에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등장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임상시험을 하지 않은 임산부에 대한 접종에 대해 위험성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다.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의식적으로 힘을 주지 않아도 쑥쑥 빠져나간다.내 동생들도 나처럼 성격이 온화한
편
이다. 하지만 너무 물러 터져서 걱정이다. 다섯째는 바깥으로 나가자마자 뚝뚝 끊어지면서 부서진다. 설사라는 별명을 가진 여섯째는 더 물러서 진흙처럼 생겼다. 가장 걱정되는 건 막내다. 주로 식중독이나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다리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런 과정을 통해 최적의 물성을 갖는 철강을 찾는다.한
편
철의 가장 큰 단점인 부식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현재는 철강 표면에 페인트를 칠해(도장) 녹스는 걸 방지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페인트가 벗겨지므로 약 20년마다 다시 칠해줘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잎 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멘톨과 사람이 합성한 (+)멘톨을 다른 냄새로 기억한다. 한
편
다람쥐원숭이는 사람이 구분하지 못하는 펜촌이란 냄새 분자를 다르게 인식한다. 이처럼 사람의 냄새 식별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사실은 진화과정에서 시각에 점점 더 의존하면서 후각이 퇴화한 결과로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차지하고 있는, 구멍이 숭숭 뚫린 이 흰색 상자가 딱딱하고 삭막한 도시에서 부드럽고
편
안한 소통의 장치로 역할해주길 바란다.김인철 교수는 홍익대 건축과와 국민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중앙대 교수이자 건축회사 ‘아르키움’의 대표로서 작품 활동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없음의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둘 다 6개월 형을 받는다. 죄인의 입장에서는 끝까지 부인을 해 징역 6개월을 받는
편
이 유리하다. 하지만 서로 상대를 믿지 못하기 때문에 둘 다 범행을 인정해 징역 5년을 받게 되는 상황을 죄수의 딜레마라고 한다.라운트 교수는 학생들을 3그룹으로 나눠 총 30회 동안 상대를 배신할지 안 할지를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폭 30m, 길이 159m에 총 중량 2만 5000t인 것과 비교할 때 아라온 호의 규모는 그다지 큰
편
은 아니다. 하지만 아라온 호는 첨단 연구장비를 가장 많이 탑재한 쇄빙연구선으로 연구 수행 능력만큼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는다.아라온(ARAON)은 바다를 뜻하는 순우리말 ‘아라’에 전부를 나타내는 ‘온’을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삼현영상회상, 수제천과 같은 전통곡에서 합주악기로 쓰이거나 소규모로 악기를
편
성해 실내에서 연주하는 세악에 많이 쓰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연주 기법이 다양해지며 서양식으로 작곡한 창작음악에서 독주악기로도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해금은 관악기와 현악기뿐 아니라 전통음악과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때문에 백성들은 치료받기가 어려웠다. 이런 상황에서 허준은 필생의 역작인 동의보감을
편
찬해냈다.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약재와 치료기술을 다뤄 열악한 의료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의료 대중화에 기여했다. 또 단순히 치료법에만 매달리지 않고 오늘날의 예방의학에 해당하는 양생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