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쏟아지는 해변으로 가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톱스타’이기 때문에 이들을 중심으로 주변에 있는 별을 관찰하는 게 좋다.시골 밤
하늘
은 맨눈으로 봐도 환상적이지만, 진정한 여름밤 ‘스타 폐인’들은 장비를 들고 가는 걸 잊지 않는다. 쌍안경은 가장 간단한 장비로 아마추어에게는 구경은 50mm, 배율은 7배가 적당하다. 좀 더 욕심을 부린다면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30° 지점에 위치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나미브사막의 모래언덕(사구)은 원색에 가까운
하늘
덕분에 붉은색이 더욱 두드러지고 선명해 보이며, 바람에 의해 절묘하게 휘어진 모습은 칼날처럼 보인다. 매끈해 보이는 모래 표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도마뱀과 작은 곤충의 규칙적인 발자국이 보인다. ...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실험에서 입자를 가속시켜 충돌시키는 실험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우리 머리 위
하늘
에서는 쿼크-글루온 플라스마가 형성됐다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는 셈이다.특히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 초기에는 온도가 아주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빅뱅 이론에서는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가진 아주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발사된 전파를 인공위성이 수신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수집한다 3~ 4월에 남쪽
하늘
에 보이는 별자리 그리스 신화의 이아손과 함께「황금 양털」을 얻기 위해 떠난 원정대(遠征隊)를 나른 거선「아르고(Argo)」에 연우하는 이름이다 저항(R)과 콘덴서(C)를 사용해서 출력전압의 일부 입력 쪽에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때 그렐린이 만드는 식욕은 좋은 지표다. 식욕으로
하늘
이 빙빙 돌고 배가 고파서 못 견디겠으면 쾌재를 불러라. 체중 조절의 ‘산’ 5부 능선을 넘고 있는 셈이니.아름다운 몸은 건강한 몸이다. 건강한 몸을 유지하려면 몸 속의 생체시계를 따라야 한다. 이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매일 보고하고, 라이더(마이크로파 대신 펄스레이저광을 내는 레이더와 비슷한 장치)는
하늘
로 레이저를 쏜 뒤 산란하는 정도를 관측해 대기 중의 먼지나 구름의 성분을 조사한다 ... ...
2. 식물에서 찾은 다이어트 묘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것. 카페인은 수용성 물질이므로 지방으로 이뤄진 피부를 뚫고 지나가기는 ‘
하늘
의 별을 따는 것’만큼이나 힘들다.김 원장은 “카페인을 리포좀에 싸서 지용성 성분으로 변화시켜주면 피하지방층에 도달하는 확률을 20% 정도 높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하다”고 말했다. 리포좀은 수용성 ... ...
밤
하늘
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모습이 어우러진 천체사진을 찍어보자. 산 위에서 활활 타듯
하늘
로 솟구치는 은하수,
하늘
에서 쏟아지듯 바다에 걸쳐있는 은하수 사진은 어떨까. 7월 20일 해왕성 달 뒤로 숨다달은 천구에서 하루에 약 15°씩 동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보다 느린 행성을 가리는 현상이 가끔 일어난다.20일 밤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공간만 있어도 수직으로 떠올라 날 수 있다. 알코올을 연료로 사용하며 최고 시속 600㎞로
하늘
을 날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비행기 조종사 면허가 있어야 한다.주인님, 힘내세요~!일본의 닛산이 만든 피보2는 전기로 움직이는 독특한 모양의 소형차다. 피보2는 얼굴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컸던 죽도는 부진동이 일어나는 지형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죽도를
하늘
에서 내려다보면, 해안선을 따라 방조제가 직선으로 길게 뻗어 있고, 그 앞 바다 한가운데 죽도가 연륙교로 방조제와 연결돼 있다. 닫힌 지형이 아니기 때문에 고유진동 주기가 나타날 수 없다는 설명이다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