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09.03
주도한 마르틴 헤르만 FAU 의학3부-류머티즘및면역학 교수는 “NET의 형성과 응집을 막는
억제
제를 활용하면 담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oi: 10.1016/j.immuni.2019.07.00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분비를 제어한다”며 “정맥 마취제나 흡인성 마취제는 칼륨 채널 일부의 활성을
억제
해 감각이 전달되지 못하게 만들어 마취 한다”고 설명했다. 혀끝이 가장 먼저 인지, 입술에 가장 오래 남아 마라탕을 먹었을 때 인체에서 가장 먼저 마라의 매운맛을 느끼는 부위는 어디일까. 또 어느 ... ...
간에도 신경계가?...알코올성 지방간 치료법 패러다임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또 약물을 통해 글루타메이트, 글루타메이트 역수송체,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단백질을
억제
할 경우 지방간 발생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원일 교수는 “신경세포간 신호를 주고받는 시냅스처럼 간에도 신경계와 유사한 대사 시냅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제시한 것”이라며 ... ...
자연살해세포의 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만나더라도 암세포 사멸로 이어지지 않는다. 연구진은 반대로 c-Myc 유전자 발현을
억제
하면 암세포 표면에 NKG2D 활성화 인자가 증가하고 NK세포가 암세포를 쉽게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의학원은 NK세포를 고순도로 대량 배양할 수 있는 차세대 항암면역세포치료 기술을 확보해 췌장암 ... ...
국내 연구진 ‘살인진드기병’ 예방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에 대한 항체 면역 반응이 감염
억제
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박수형 교수는 “이번 연구는 SFTS 바이러스 감염을 완벽하게 방어할 수 있는 백신을 최초 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기 교수는 “SFTS 백신 개발을 위한 ... ...
"항암치료 부작용 '영구탈모' 원인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8
영구탈모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면역반응을
억제
한 실험용 쥐에 사람의 모낭을 이식한 후 항암치료와 조혈모세포 이식을 한 뒤 영구탈모를 유도했다. 이후 항암치료로 세포가 손상되는 과정과 함께 모낭 줄기세포의 손상과 세포사멸 원인을 관찰했다. 그 ... ...
아무리 약 발라도 아물지 않는 염증, 빨리 낫게 할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재생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실제로 쥐를 이용해 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
한 뒤 피부의 상처 재생 속도를 비교한 결과 상처 회복 속도가 빨랐다. 박 교수는 “향후 자가면역질환자들의 상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 물질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면역 분야 ... ...
암세포 공격력 4배 향상된 나노입자-NK세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 유방암에 걸린 쥐에 나노입자-NK세포를 넣은 결과 종양 성장을
억제
하는 능력이 4배나 더 향상됐다. 또한 나노입자에는 자성을 띠는 아연-철 산화물과 근적외선에 활성화하는 형광 분자가 들어 있어 기존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체내에서 NK세포가 어디에 있고 어디로 ... ...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멜리틴-펩타이드를 주입한 쥐는 암세포 성장이 효과적으로
억제
된 것은 물론 종양 성장에 중요한 혈관 신생 역시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정상 조직의 대식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종양 내 대식세포만 유의하게 줄어들고, 이를 통해 암세포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들면 세포핵 모양이 변형되며 늙기 때문에 라민을 연구하면 인간 노화를 이해하고
억제
하는 물질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경북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라민의 구조를 고해상도로 관찰했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태양보다 100경(京) 배 밝은 빛으로 살아있는 세포나 ... ...
이전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