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
과학동아
l
201311
끝이 어디인지 궁금해진다.참고로 21세기 후반에 서울의 불쾌지수는 85.6으로 사소한 일이
큰
싸움으로 번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올해 불쾌지수가 80 넘게 치솟았던 강원도 지역은 경찰에 신고된 하루 폭력 사건만 30여 건이 넘었다. 강원도보다 인구가 6.6배 많은 서울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 지는 불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11
어차피 영국 왕실이 쓰는 영어가 아닌 다음에야 미국인들이 쓰는 영어도 다 ‘브로
큰
잉글리시(Broken English·서툰 영어)’가 아니겠나. 나 역시 영어가 완벽하지 않지만 외국에서 연구하고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영어를 쓰라는 말의 핵심은 자신과 다른 언어, 문화, 생활방식을 지닌 사람들과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311
차원을 한 단계 높여줬다는 점도 같고요. 수학자와 과학자가 이런 유사성에 주목하면 더
큰
원리를 발견할 수 있어요.”김 교수는 이런 유사성이 어디서부터 오는 것인지, 또 다른 공통점은 없을지 끊임없이 상상하고 탐구하는 일을 ‘공상’이라고 표현했다.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한 상상은대부분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
과학동아
l
201311
많이 다르지만, 그렇다고 호주 원주민과 유럽인 사이의 생김새 차이보다 월등히
큰
차이가 나는 것도 아닙니다. 네안데르탈인의 생김새는 현생인류가 지닌 생김새의 다양성 범위 안에 충분히 포함됩니다. 그렇다면 네안데르탈인 역시 현생인류의 일부가 될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더구나, 최근에는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
과학동아
l
201311
배를 만들 때 특허료를 많이 내야만 했습니다. 김용환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대형 슬로싱 실험 인프라를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이고 실험 비용도 3분의 1 정도로 낮췄습니다.어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가요? 슬로싱 연구 이외에도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
과학동아
l
201311
최고가 되는 것이지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엔지니어로서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큰
일을 하고 싶습니다.” 전 이사는 후배 엔지니어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돕고, 고객 회사에 훌륭한 솔루션을 쓸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지금도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
과학동아
l
201311
하다가는 우리나라가 매우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는 가장
큰
착각은 우리가 상당히 발전했다는 것입니다. 한 나라가 어려워지는 건 순식간의 일인데 가장 빠른 지름길은 목적에 위반되거나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면서 어디에 종속되게 만들어갈 때입니다.” 행복함을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11
고세균이 나온다. 이를 하나하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종을 판별하는 일은 유전체가
큰
생물 하나를 분석하는 것과는 또 다른 어려움이다. 더구나 각각의 미생물 유전체를 서로 비교하는 일은 꿈도 꾸지 못한다. 미생물 하나하나를 배양해 염기서열을 분석한 뒤 비교해야 했던 과거에는 20~30개의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관련해서 김 교수의 또다른 직함은 젓가락문화협회 회장이다. 젓가락은 아이큐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한중일 아이들의 아이큐가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이유가 바로 젓가락에 있다는 것이다. “항상 강조하는 게 우리나라는 전문적으로 해야 할 것이 너무 많다는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건 아니다”라고 말하며 웃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교수가 사업을 운영하거나 투자해
큰
돈을 버는 사례가 많다.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이와 비슷한 추세로 가고 있다.최근 노 교수가 개발한 기술 중 하나는 ‘스크린X’다. 보통 영화는 전방 스크린 한 곳에만 영상을 비추지만 스크린X는 좌우 양쪽의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