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다. 2014년 바닷물 속 나트륨을 활용한 해수전지를
개발
했고,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건축 디자인과 구조공학을 접목한 ‘구조의 이해’ ‘구조 디자인’ 등 교과목을 직접
개발
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교수는 후배 공학도들에게 “처음부터 남보다 특별할 필요는 없다”며 “자신이 추구하는 신념을 바탕으로 꾸준히 역량을 키워가면 좋은 공학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해보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doi: 10.1364/BOE.10.000610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
의 첫 단계에서 약물 후보물질에 대한 세포 수준의 반응성을 더 명확히 알 수 있다. 문 교수는 “향후 의료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의료진과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물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인 양력을 충분히 받지 못해 비행이 불안정했는데, 이번에
개발
한 로봇은 벌새의 비행법을 이용해 안정적이다”며, “벌새 로봇은 물체와 접촉하면서 공간을 파악하기 때문에 재난 현장과 같이 지도가 없고 어두운 곳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내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지요.원래 GPS는 미국 국방성이 군사용으로 1973년부터
개발
했어요. 그런데 1983년, 우리나라 여객기가 실수로 당시 적국이었던 소련의 영공을 침범해 격추당하는 사건이 발생해요. 이후 미국은 GPS 서비스를 민간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답니다. 지금은 자동차나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복원법도
개발
됐다. 이승기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는 ‘어류 이종간 이식기술’을
개발
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5년 11월 2일자에 발표한 바 있다. doi: 10.1038/srep16045연구팀은 영하 80도에서 냉동 보관된 무지개송어에서 살아있는 정자의 줄기세포(정원줄기세포)를 분리해 새끼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구디너프 교수는 역대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지난해 초정밀 레이저 활용 기술을
개발
해 물리학상을 받은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전 연구원이 96세에 수상하면서 최고령 수상자였는데, 1년 만에 기록을 갈아치웠다.수상자의 고령화는 노벨상의 대표적인 트렌드다. 분야마다 조금씩 차이는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몸속 모든 장기를 100% 손상 없이 해동하는 방법은 아직
개발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실망하진 마세요. 많은 연구자가 해동 연구에 매달리고 있으니까요. 대표적으로 존 비쇼프 미국 미네소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작은 철(Fe) 입자를 이용해 동물의 생체 장기를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모스크바의 2월은 한낮에도 기온이 영하에 머물 정도로 혹독했다. 2004년 KSLV(Korea Space Launch Vehicle)-I(나로호)에 대한 한러 기술 협력 계약이 체결되고, 이듬해 2월 우 ...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
을 이끌었다. gwcho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