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위성을 개발 운용하기 시작했고 83년까지 미국 나사와 협조하여 각종 인공위성을 개발한
바
있다.또한 천여개가 넘는 섬으로 구성된 인도네시아가 70년대부터 통신위성 '팔라파'를 이용해 전국토에 걸친 위성통신망을 구성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도모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움직이는 이유는
바
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이 책은 현실을
바
탕으로 인류가 준비해야 할
바
를 알려주는 충실한 지침서로서 최고의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이다.책 뒤의 이야기 - 출간 전 부터 화제만발 저작권료 경이적 기록출간을 앞둔 빌 게이츠의 책은 출간 전부터 내용만큼이나 화제도 풍성하다.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이탈리아는 포항방사광가속기보다는 약간 규모가 떨어지는 3세대를 작년에 완공한
바
있다. 중국 고능물리연구소는 1세대이긴 하지만 20억eV 규모의 방사광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방사광가속기 보유국가는 16개국(건설 중인 것 포함)이다.'과연'이 '현실'로80년대 후반 처음 방사광가속기 ... ...
'지구 살리자' 기후협약 유명무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지속적으로 참여해왔으며, 92년 6월 열린 리우환경회의에 제출한 WCC의 보고서를 작성한
바
있는 이 분야 전문가.비셔 박사는 강연을 통해 80년대 초 기후 변화 정부간회의(IPCC)를 통해 이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한 이래 최대의 에너지 소비국인 미국(한 예로 89년 미군이 사용한 에너지량은 미국의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지난 1988년 공개적으로 밝힌 노벨상 후보지명의 문제점은 대단한 파문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그해 12월 캘리포니아공대의 세미나에 참석했던 말름스트롬은 '사이언스'지와의 회견에서 미국인 지명권자들이 가장 업적이 큰 화학자들을 지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미국인들만을 지명했다고 ... ...
3. 인류의 꿈-두뇌 닮은 신경망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생체 신경계에서의 뉴런의 연결수가 몇천개 정도의 지렁이 수준의 두뇌를 이미 구현한
바
있으며 1997년까지 10억개 정도의 뉴런 연결을 가진, 벌 수준의 인공적인 신경망 칩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그러나 여기서 한가지 간과해서 안될 점으로는 몇 억개 정도의 초집적도를 가진 ... ...
인공위성 통해 철새 이동경로 연구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밝혀진 경유지는 보호구역으로 설정됐다.이 방법은 코끼리 사슴 고래 등의 포유류와
바
다거북 등 파충류에도 시도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새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고 있다. 조류학자들은 "위치만이 아니고 온도 습도 압력 등도 측정이 가능하다면 보다 자세한 서식환경을 알 수 있을뿐 아니라 새의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더불어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는 증거다. 또한 밤섬의 역할이 중요함은 앞에서도 말한
바
있다. 한강 유역 콘크리트로 단절하지 말아야이와 같이 한강 생태계는 과거와 비교해 볼 때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이유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① 생물의 천이, 즉 생물의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미생물학과의 이호왕 교수를 꼽았다고 한다.이호왕 교수는 유행성출혈열의 원인인 한탄
바
이러스를 처음 발견하고 동정했으며 그 치료제와 백신까지 개발했다. 한 분야를 시작부터 끝까지 완결해냈다는 점에서 그의 업적은 세계적으로 인정된다. 다만 유행성출혈열은 한국이나 중국 등에만 ... ...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이같이 연구가 지지부진한 것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제일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은 이른
바
음성의 '화자 독립성'. 음성인식을 위해 추출하는 음성의 특징은 화자에 종속되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인식 시스템은 특정한 화자(話者) 전용으로 사용될 때 높은 인식률을 보이지만 불특정 화자의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