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측정하기 위해 쓰인다.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팔의 남아 있는 부위와 의수가 닿는 부분(소켓 내부)에 전극이라고 불리는 작은 금속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전극은 바로 아래 운동 신경세포가 만드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신호는 로봇 의수에 내장된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쥐와, 혼자서 살았던 쥐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혼자서 살던 쥐는 등쪽솔기핵이라는 부분이 활성화돼 있었다.이 부위가 활성화되면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분비된다. 연구팀은 무리에 있던 쥐 한 마리를 따로 고립시켰다가 다시 무리에 넣었다. 그랬더니 등쪽솔기핵이 ... ...
- Part 1. 백해무익, 담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몸속의 세포를 망가뜨려 질병에 걸리게 돼요. 게다가 염색체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부분인 ‘텔로미어’가 짧아져 우리 몸이 더 빨리 늙게 된답니다.담배 피우면 방사능에 피폭된다?담뱃잎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마찬가지로 자연방사성 물질이 들어 있어요. 그 중에서 ‘폴로늄’이 ... ...
-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기장으로 이 부분을 자극하여 우울증을 치료하기도 합니다.연구팀의 매튜 스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복잡한 문제를 푸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기존의 가설과 맞아 떨어진다”며, “이 연구가 우울감과 불안감을 낮추는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앞서 살펴본 건물의 윤곽선처럼 뾰족한 부분이 있으면 부드럽다고 하지 않는다. 뾰족한 부분은 미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직관적으로도 부드러워 보이지 않는다. 최 교수는 “시라는 문학은 읽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함축된 언어를 색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며, “수학자의 눈으로 시를 ...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7년을 주기로 별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별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는 부분이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2002년에 처음 발견됐을 당시, 태양의 10분의 1만큼 작고 1000분의 1수준으로 어두워 태양과는 전혀 다른 별로 분류됐다. 하지만 태양 표면에 100여 개의 흑점이 11년 주기로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려둔다.몇몇 고유명사와 사실관계는 수정했지만 신경과학계 인사 중에 내가 숨긴 부분까지 알아보실 분이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센서스 코무니스나 센기획, 또는 뉴로폴리틱스에 대해 정보가 있으신 분은 tesomiom@gmail.com으로 연락 바란다. 부탁드린다 ... ...
- [과학뉴스] 고추냉이(와사비)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자랍니다. 저온, 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20~40cm 정도 되고요. 우리가 먹는 부분은 땅속줄기(근경)입니다. 생것으로 강판에 갈아서 먹거나, 완전히 건조시킨 뒤 분쇄해 물로 반죽한 것을 먹는데요. 가공 전 고추냉이 소스는 색이 거의 없습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황록색 고추냉이는 100%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84%나 됐다.그는 “촉감이 때로는 전기처럼, 때로는 압력을 받는 것처럼 느껴졌지만, 대부분 어떤 손가락인지는 정확히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가운트 교수는 “자기 팔처럼 훨씬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느낄 수 있는 로봇 팔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방법이 없다.흔히 보는 헬리콥터는 비행체 중심에 있는 메인로터(프로펠러)와 꼬리 부분에 있는 테일로터가 함께 작용한다. 테일로터는 메인로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줄이고 방향을 조절하는 데 쓰이지만 양력을 발생하는 데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매우 약하다. 결국 NASA는 동일한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