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d라이브러리
"
사회
"(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모든 사생활이 다 드러날 수 있다. 모든 사람으로부터 나도 모르게 감시를 당하고 있는
사회
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편안함을 추구함에 따라 사람들이 게을러질 수 있다. 움직임이 그만큼 적어지고 그에 따라 비만이 발생해 각종 성인병이 발생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가 우리 생활에서 쓰인 지는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밀턴은 실명을 하게 된 뒤에야 비로소 신의 뜻을 볼 수 있게 되었다고 하지 않았던가.현대
사회
는 눈을 자극하고 눈에 호소한다. TV에는 스토리보다 눈을 자극하는 영상이, 책에는 글씨보다 그림이, 사람간의 관계에는 느낌보다 드러난 것이 더 중요하게 대두되곤 한다. 쉽게 눈에 띄는 것이 진실을 ... ...
세계적인 명문고를 꿈군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회
적 책임을 다할 때 완성된다. 능력이 뛰어나도 다른 사람을 생각할 줄 모르는 인재는
사회
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현대고는 학생들의 우수한 학업 뿐만 아니라 인성 함양에도 노력한다. 1인 1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적어도 한 가지의 운동과 악기를 배운다. 체력 단련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선택해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통합논술이나 입학사정관제에도 이런
사회
적 변화가 반영된다. 따라서 교과지식에만 머무르지 말고 과학동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서 공부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과학동아(잡지)를 교육에 활용하는 MIE는 매우 좋은 공부방법이다. 통합사고력을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분석에서도 나타난다. 트위터는 멱급수 분포를 따른다. 멱급수 분포는 각종 자연과
사회
현상에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사건의 관련성을 표현하는 모델이다.멱급수 분포에서는 끝단이 종 모양인 정규분포보다 더 두꺼운 ‘팻 테일’(두꺼운 꼬리)이 나타난다. 정규분포에 따르면 많은 수의 팔로워 ... ...
남녀평등이 수학 성적 가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둘 다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즉 수학성적의 남녀차이는 문화나 경제 수준 등 그
사회
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남녀불평등이 심각한 이슬람국가에서는 남학생들의 수학성적이 여학생들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슬람국가 중에서도 남녀평등이 보장된 학교에서는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교통사고 사망자 10명으로 나눈 10억 원이 바로 이 지역 주민 1명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회
적으로 투자할 의사가 있는 금액이 된다.이렇게 구한 생명의 가격은 다른 안전시설을 설치할 때 적용할 수 있다. 한 해에 10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시설이라면 100억을 투자해 안전시설을 짓는 것이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주로 쓰였다. 따라서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가 당시 유럽에 영향을 미친 것에 비해
사회
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6- 1450년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1397-1468) ‘42행 성서’ 제작구텐베르크가 금속 활자를 발명한 후 유럽에서는 1450년부터 1500년까지 50년 동안 2000만 권에 달하는 인쇄본이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전 숨쉬는 상어 쥴리예요. 여기서 재미 있는 대결이 벌어진다고 해서
사회
를 보러 왔어요.‘어린이과학동아’에서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를 뽑는다더군. 귀요미 상어는 물러나 있지? 의 주인공인 백상아리가 왔으니까!흥! 범고래를 빼놓고 바다의 지배자를 얘기할 수 있을까?뭐…, 뭐야? 지금 ... ...
역사가 살아숨쉬는 한국현대의상박물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옷에 그림도 그려보고 한국 패션의 역사도 살펴봤어. 옷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그 시대의
사회
와 문화를 담고 있는 만큼 유행한 옷들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사도 배울 수 있었단다. 한국의 패션과 역사도 배우고 나만의 옷도 만들어 볼 수 있는 한국현대의상박물관, 정말 멋지지 않니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