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코트너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와 에드워드 홀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교수도 비판의 대
열
에 섰다.울프-사이먼 박사는 이들의 논문을 ‘비소 박테리아의 인 함량이 박테리아가 살아가기에는 너무 낮다’는 근거로 인용했다. 이에 대해 이들은 “우리 연구는 인이 매우 많은 환경에서 정상보다 아주 높은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배다리의 숫자는 해부 현미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애벌레를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중요한
열
쇠가 된다.다리 개수는 0개부터 26개까지‘여러 개의 다리(polypod)’를 갖고 있는, 즉 3쌍의 가슴다리 이외에 배다리를 갖고 있는 애벌레들은 나비목 곤충이라 할 수 있다. 가슴이 짧고 긴 원통형의 몸매에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일으켜 선체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이를 막을 수 있는 특수한
열
방호 장치도 필요하다. 현재 궤도용 우주비행선으로는 미국의 우주왕복선과 러시아의 소유즈, 중국의 선저우가 있다. 소유즈 우주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갈 때 남는 좌석을 이용해 300억~400억 원의 여행비를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쓰레기 소각, 펄프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긴다. 다이옥신은 물에 거의 녹지 않고
열
화학적으로 안정해 자연계에 나오면 잘 분해되지 않는다. 인체에도 오랫동안 머문다. 다이옥신은 지방에 잘 녹기 때문에 생물의 지방 조직에 축적되면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흡수된 다이옥신이 인체에서 반으로 ... ...
수상 이력 보다는 자유로움 꿈꾸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실행력이 있었기에 IT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었다. 새장에 갇혀 사는 새는 새장을
열
어줘도 날지 못한다. 스펙을 챙기는 데 급급하기 보다는 나만의 미래를 위해 거친 길도 마다않고 가는 IT영재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획일화된 사회는 자유로운 영혼을 평가해줄 능력이 없다. 사회의 잣대에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쏙쏙_특집 한 걸음 더!소리와 온도로 백두산을 감시한다고?콜록콜록~! 기침이 나고
열
이 오르면 감기에 걸린 거겠죠? 그런데 화산이 폭발할 때도 온도가 올라가고 큰 소리를 낸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직접 감시할 수 없는 백두산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백두산의 소리와 온도 변화를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건 상위 11명으로 압축됐을 때부터다. 경쟁은 수천 대 1의 경쟁을 펼치던 예선전보다
열
명 남짓으로 추려졌을 때가 훨씬 심해졌다. 더불어 스트레스는 익스포넨셜로 증가했다. 아마 그때부터였을거다. 내가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고생하기 시작한 게.----------------------------------------------------------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인간배아줄기세포가 발견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2세대 줄기세포 치료’의 시대가 막
열
리고 있다. 2006년 선을 보인 유도만능줄기세포나 지난해 발표된 직접교차분화 역시 10년쯤 지나면 ‘3세대 줄기세포 치료’의 시대로 이어지지 않을까. 물론 질병 메커니즘을 규명하거나 신약발굴에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뭘까. 바로 허블망원경을 살리기 원했던 미국과 세계 시민들의
열
망 때문이었다. 그
열
망이 화려한 영상과 잔잔한 이야기로 담긴 영화, 허블3D는 결국 그 가치를 아는 자들에게만 소비되며 선택된 감동을 주는 것이 아닐까 ... ...
에너지 변환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빛 에너지 등 1차 에너지를 사용한다. 이 에너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열
역학, 유체역학을 공부해야 한다. 또한 1차 에너지를 변환해 얻을 수 있는 전기 에너지에 대한 지식을 갖추기 위해 전기전자 공학과 관련된 내용을 배운다. 마지막으로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형태로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