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동"(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색이 된다는 것이 양자역학의 표준해석이다. 하지만, 우주에서 어떤 정보도 빛보다 빨리 이동할 수 없다. 알파 센타우리의 관측 결과는 빛의 속도로 진행하더라도 4년 뒤 지구에 도착한다. 그렇다면 4년이 지날 때까지 지구의 알약은 빨간색과 파란색이 1/2의 확률로 나오는 걸까?이건 말도 안 된다.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직 발견하지 못한 운석이 있을 거예요! 편집부는 취재차량을 타고 장장 5시간 이동한 끝에 진주에 도착했어요. 진주는 밭이 많은 곳인 만큼 돌도 무척 많았지요. 하지만 이럴 경우를 대비해 미리 운석 구별법을 알아 놓았답니다. 친구들에게 살짝 공개할게요!까만 돌을 찾아라!지구상에 있는 수많은 ...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우기와 건조한 건기가 번갈아 와요. 건기가 되면 코끼리들은 마실 물과 먹을 풀을 찾아 이동해야 하지요. 이때 여족장의 힘이 발휘돼요. 놀랍게도 넓은 초원 어디에 물이나 먹이가 있는지 모두 기억하고 있거든요. 어린 암컷들은 여족장과 다니며 이런 내용을 배우고요. 여족장이 죽은 뒤에는 ...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뇌전도는 빠르게 변화하는 뇌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BCI 기술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는?BCI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뇌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과, 측정한 자료에서 핵심 정보를 추출해 내는 기술, 마지막으로 응용 콘텐츠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최대로 끌어올려서 미분화세포를 없앤다는 각오다. 차병원 줄기세포연구소 부소장인 이동률 교수는 지난 4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만들긴 했지만, 이 때는 기능세포로의 분화가 덜 ... ...
- [수학뉴스] 비누막에서 찾은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같이 비누막 표면의 넓이가 급격히 좁아지는 지점에서는 비누막을 구성하는 입자의 이동 속도가 지수함수꼴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곡면의 모양에 따라 비누막이 터지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는 복잡한 방정식을 얻었다.연구팀을 이끈 골드스타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전달하는 것과 비슷하다. 소리를 전달할 때 실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파도 역시 물이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끼우고 바다에 떠 있으면 해변 쪽으로 밀려가지 않고 위 아래로 출렁거릴 뿐이다. 이제 파도를 ‘분류’해 보자. 파도의 종류는 오로지 파장과 수심의 관계로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대신 우주선이나 미세한 유성체와 만나 표토의 미세한 가루(먼지)가 생긴다. 이 먼지가 이동을 해와서 스월이 생겼다는 개릭-베델 교수팀의 가설도 있다.김성수 경희대 교수와 심채경 연구원은 달의 편광을 관측해 표토의 입자 크기와 노화 사이의 관계를 지역별로 비교하는 연구를 제안했다. 빛은 ... ...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잘 넘어지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단단한 암석을 부수는 드릴 등 특수장비도 필요하다. 이동형태는 바퀴형이 더 유리한데, 캐터필러는 지형이 험난해도 잘 움직일 수 있지만, 저항이 커져 에너지를 많이 쓴다. 2015년도 NASA 샘플채취로봇대회 참가를 준비하고 있는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걸린 생쥐에게 신경줄기세포를 주사해 봤더니 줄기세포가 종양 부위를 향해 저절로 이동하는 현상을 관찰한 뒤였다. 암세포는 급하게 자라는 과정에서 성장인자를 많이 분비한다. 신경줄기세포는 바로 여기에 반응해 자기도 모르게 암세포를 향해 이끌려 간 것이다.필자가 속한 연구진은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