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내밀고있다. 지난 8월 미국 예일대 컴퓨터과학과 도냐 퀵 박사는 ‘쿨리타’라는
인공
지능 작곡프로그램을 개발해 발표했다. 쿨리타는 기존의 악보를 이용해 음악적 요소를 분석한 뒤 음계를 조합해 새로운 음악을 만든다.퀵 박사는 음악적 소양이 있는 100명에게 쿨리타가 만든 곡과 사람이 만든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품종을 개발하려고 했다. 그런데 이 두 종류의 벼가 유전적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인공
교배한 뒤 후대에서 불임이 생겼다. 결정적인 해결책은 온대벼와 열대벼의 중간 종인 대만의 재래종을 중간다리로 이용한 것. 훗날 유전자 검사를 해보니 대만 벼의 sd-1 유전자가 도입된 것을 발견했다.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합성이 어려운 매우 독특한 구조다. 이번에 노벨상을 수상한 아르테미시닌을
인공
적으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128개나 되는 아르테미시닌 입체 유사체가 필요하고, 이마저도 여러 화학적 후처리 단계를 거쳐야 한다. 개똥쑥이 없었다면, 과학자들이 처음부터 아르테미시닌을 합성하긴 어려웠을 것이다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만든 물질과 화학이 만든 물질이 도대체 뭐가 다른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부터
인공
과 천연 첨가물의 구분도 없앨 계획이다.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온다는 뜻에서다.하지만 여전히 찜찜하다. 특정 첨가물을 많이 먹인 쥐가 암에 걸리고, 정신질환도 생긴다는 뉴스를 보기도 했다. 하지만 백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
지능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머지 않아 인간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알아서 제공하는
인공
지능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컴퓨터 학회 ACM의 학술저널 9월호에 ... ...
우주비행사 비서 로봇 ‘아일라’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비서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호주판 비지니스 인사이더는 독일
인공
지능연구센터와 브레멘대가 우주비행사의 업무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아일라(AILA, 아래 사진)’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아일라는 두 개의 팔과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여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왜 갑자기 대학 입학 시험으로
인공
지능의 수준을 평가하게 된걸까. 장 교수는 “
인공
지능의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말했다.결국 우리의 입시가 사라지기 전까지, 이들의 도전은 계속될지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플로스원’에 밝혔다.생물학상 : 티라노사우루스의 운동을 연구하기 위해 닭에게
인공
꼬리를 붙인 연구자가 있다. 국립칠레대 브루노 그로시 교수팀이다. 나무 막대로 만든 꼬리를 닭에게 붙여 닭의 운동을 관찰한 연구팀은 닭의 움직임이 마치 수각아목 공룡의 운동과 흡사하다고 밝혔다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
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비교적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진동수가 적은 지진파를 만들어 대부분 저층 건물인 카트만두의 주거지역 붕괴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없는 유리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어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문명운 박사 연구팀이 그 주
인공
이랍니다.연구팀은 유리 표면에 1㎛(마이크로미터 : 100만분의 1미터) 두께로 유리를 이루는 주재료인 이산화실리콘을 코팅했어요. 그리고 이 유리를 금속판 위에 올려놓고 *플라즈마 상태의 불소와 탄소가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