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함"(으)로 총 6,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앞으로 척추동물의 뇌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해요. 무척추동물의 버섯체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뇌에서는 해마와 비슷할 거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너희 뇌를 이용해서 지구를 정복할 수 있을까?글쎄요, 닥터 그랜마. 별로 좋은 생각 같지는 않아요. 우리 뇌는 지구 정복처럼 거창한 일을 하는 데 ...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오른쪽 사진은 머리에서 치아가 있는 부분을 가로로 자른 단면 영상이다. 치아에 금니가 포함돼 있거나 금속으로 떼운 흔적이 있을 경우, 보이는 것처럼 빛이 사방으로 퍼진다. 이를 ‘메탈 아티팩트(metal artifact)’라 한다. 따라서 CT 영상을 쌓아 올려 만든 3D 모델도 선명하게 얻을 수 없게 된다.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독자 기자를 가장 먼저 맞이한 사람은 곽시종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였다.“수학은 과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어떤 일에서든 꼭 필요합니다.”곽 교수는 ‘수학과 비전’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던 중 이렇게 강조했다. 수학으로 훈련한 사람은 어떤 분야로든 나아갈 수 있다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꼬리별, 살별이라고 부른다. 혜성은 태양 주위를 돌다가, 태양에 가까워지면 작은 입자가 포함된 태양에서 부는 바람 때문에 가스가 수억 km로 날리면서 빛을 낸다. 이 가스가 우리 눈에 꼬리처럼 보이는 것이다.혜성의 중심인 핵을 이루는 물질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와 나트륨, 규소, 황, 마그네슘 ...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바뀌면, 식물을 먹고 사는 1차 소비자의 종류도 바뀌거든요. 그런데 요즘에는 가죽나무를 포함해 리기다소나무, 미국자리공, 가시박 등 외래종 식물이 마구 늘어나고 있대요. 이런 외래종 식물보다 우리나라에서 오래 살아온 ‘자생종’ 식물을 많이 심는 건 어떨까요? 자생종은 특히 꿀벌에게 큰 ... ...
- PART 5. 중력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를 중력파라고 부른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론을 통해 시공간이 파동(중력파)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하지만 당시 물리학자들은 중력파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했다. 거의 반세기가 지나도록 중력파를 ‘수학적 괴짜’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아인슈타인 스스로 주장을 뒤엎어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말이죠. 보트리올레피스는 데본기에 살았던 가장 흔한 판피어로, 지금까지 남극을 포함한 모든 대륙에서 총 150종이 발견됐습니다. 지구에 이토록 광범위하게 퍼져 살았던 건 척추동물 중 보트리올레피스가 최초일겁니다. 저는 교미 자세를 잡기 위해 쓰는 두 팔이 판피어가 전 대륙으로 이동하는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상 검출된 경우가 한번 있었지만, 너무 극단적이고 원인도 알 수 없어 논문에는 결과를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논문의 결론은 이렇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13개 브랜드의 전자담배 증기를 분석한 결과, 9개 브랜드에서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 같은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 ...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는 프로그램이에요.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을 포함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직접 진행하는 현장교육을 받을 수 있어요.2015년부터는 식물 탐사가 추가되고 꿀벌 탐사가 심화되는 등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랍니다. 온 가족이 함께하는 신나는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수정해야 한다는 증거는 관측되지 않았다. 드발리의 다차원 모형 역시 필자를 포함한 후속 연구에서 관측된 자료와 맞지 않았다. 하지만 수정중력 모형은 점점 진화해나가고 있다. “상대론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현상은 점점 많이 보고되고 있다. 드발리가 다차원수정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