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충이 숙주를 속이는 법
과학동아
l
2014.08.03
관찰한 결과, 여기에는 최적화된 방식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양자의 요동은 표지
그림
에 나타난 것처럼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시간적으로도 연속적인 성질을 나타냈다. 위버 교수는 “이제 복잡하게 생각됐던 양자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처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것보다
그림
설명을 읽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독자가 꼭 알았으면 하는 내용을
그림
옆에 함축해서 담았다. 덕분에 독자는 더 빨리 핵심만 파악할 수 있다. 주제는 ‘알아야 할 모든 것’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정말 다양하다. 활과 화살의 발명에서부터 화약은 물론 헬리콥터와 텔레비전, ... ...
유방암 조기 진단, 이젠 3차원으로 정확하게
과학동아
l
2014.07.15
2D진단장비로 찍은 영상(왼쪽)과 새로 개발된 3D진단장비로 유방암 병변을 찍은 사진.
그림
에서와 같이 흐릿한 2D영상에 비해 3D영상에서 병변이 훨씬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인다.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한국전기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3차원 디지털 유방암 조기진단기기를 개발하고 암 진단기기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오른쪽에 보면 한 남자가 커다란 빵 덩어리를 껴안고서 칼로 떼어내고 있다. 로버트슨은
그림
속 빵이 지녔을 풍미를 ‘상상’하며 이를 재현하기 위해 수년 동안 각고의 노력을 했다고 한다. 오늘날 빵을 먹고 탈이 난 많은 사람들이 글루텐을 원망하고 있지만, 어쩌면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 ...
노벨상 수상자들의 ‘반전’ 매력에 풍덩
과학동아
l
2014.07.04
계획이다. 박영아 원장은 “그동안 우리는 과학기술의 지식을 전달하는 데만 치중해
그림
과 사진 등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해 과학기술을 문화생활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등한시해 온 것이 사실”이라면서 “스케치 오브 사이언스를 통해 젊은 세대들이 즐거운 과학의 ... ...
동전만한 크기에 DVD 3000편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4.06.19
구슬은 인공격자에 가속되는 양성자를 나타내고 하얀 구슬은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그림
과 같이 양성자를 가속시켜 원하는 영역의 산소원자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또 연구팀은 패턴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자기적 특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서로 ... ...
"영재들의 고민이 해결됐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16
고흐의 방
그림
을 보다가 문득 직접 보고 싶어졌고, 계획을 세워 오르세미술관에 가서
그림
을 직접 봤을 때를 이야기 하며 영재로 공부를 해 가는 과정도 이와 같이 꿈을 차근차근 찾아가는 길이라고 했다. 유 씨는 “전 저만의 방법으로 공부가 하고 싶어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혼자 공부를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남미에서 국내총생산(GDP)의 1%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나라는 브라질이 유일하다.
그림
위의 선들이 하나로 모인 점도 브라질의 수도 브라질리아를 가리킨다. 하지만 이마저도 다른 대륙의 신흥국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다행히 연구논문의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 ...
전자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형태로 바꿔서 얇고 넓은 유기반도체를 한 번에 코팅하듯 만들 수 있는 기술과 펜으로
그림
을 그리듯 유연한 전자소자를 만드는 기술도 확보했다. ●영국은 휘는 전자종이, 일본은 구겨지는 전자소재 현재 이 분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은 치열하다. 문서나 동영상을 ... ...
일벌레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표지는 단백질의 구조가 장식했다. 생물학도라면 교과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그림
이지만, 비전공자에게는 그저 꼬불꼬불한 라면가닥처럼 보일 뿐이다. 이 구조는 ‘나선형 구조’라고 하는데, 세포막에 박혀 있는 막 단백질에서 흔히 나타난다. 표지에서는 이 막 단백질에 센서와 전선이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