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진원지 中 우한 감염자수 공식통계보다 15배 많았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화항체 보유자의 비율은 12월까지도 그대로 유지됐다.
다만
증상을 보인 환자는 중화항체 형성 비율이 55.4%였던 반면 무증상자의 중화항체 형성률은 36.2%로 20% 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연구팀은 중화항체가 형성된 이들은 9개월이 지나도 그대로 중화항체를 유지하는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mitosome)’으로 1999년 발견됐다. 미토솜은 발효도 할 수 없어 더이상 ATP를 만들지 못하고
다만
철-황 클러스터 생합성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미토좀조차 퇴화해 사라진다. 그렇다면 ‘네이처’ 3월 18일자에 실린, ‘산소 대신 질산염’을 써서 호흡하는 ... ...
AI 이용해 캄캄한 밤에 북상하는 태풍 모습 대낮처럼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있을 경우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에 신청하면 인터넷을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다만
태양반사광으로 촬영하는 가시채널 영상은 낮에 찍은 영상만 선명한 천연색으로 제공하고 밤에 찍은 사진은 제공할 수 없었다. 기상청은 ‘조건 생성적 적대 신경망(CGAN)’이라는 AI 기법을 사용해 밤에도 ... ...
코로나 백신 맞고 간혹 나타난다는 CVST와 DIC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백신 접종으로 얻는 이익이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보다 월등히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백신을 접종한 뒤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CVST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이상반응조사지원팀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뒤 뇌혈전이 발견된 ... ...
한달내 자연에서 분해되는 KF94 마스크용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필터를 만드는 공법에 그대로 적용해 제조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다만
나노섬유 필터는 체내에 나노섬유가 들어왔을 때 일으킬 수 있는 독성 여부를 평가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나노섬유 필터 마스크 중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부여하는 KF94 등급을 받은 마스크는 아직 없다. ... ...
기저질환 고령자도 백신 맞아야 하나?…"중증악화 막기위해 권장"
연합뉴스
l
2021.03.22
건강 상태가 양호해 예방접종이 가능하다면 접종받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추진단은
다만
"예진은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만 판단하며, 당일 건강 상태가 안 좋으면 예방접종을 받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추진단은 중증 질환자에 대한 혈액 검사나 흉부 엑스레이 검사 등 추가 ... ...
중국서 유입 미세먼지 관측영상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지역적 차이가 있음이 확인된다. 과기정통부 제공. 에어로졸 영상도 공개된다.
다만
천리안위성 2B호의 관측 영상은 지표부터 성층권까지의 대기오염물질을 보여준다. 이는 지상 관측 수치와는 다를 수 있다. 이번 대기질 관측영상들은 PC 화면으로만 영상을 제공하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모바일 ... ...
코로나 확산예측 TF보고서 “2주간 400~500명대 신규 확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통해 전국 확진자수는 향후 2주간 일별 400~500명이 지속적으로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이 분석에는 2월 26일 이후 실시된 백신 예방접종 효과는 반영되지 않았다. 이효정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의료수학센터장 연구팀은 전국 평균 R값이 0.99라고 분석했다. 지난 3월 12일 기준 1.09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9300만년 전 백악기 바다엔 날개 달린 상어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말기 백악기 바다에 산 상어는 모습이 비슷한 대왕쥐가오리보다 3000만 년 전에 출현했다.
다만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며 공룡과 함께 해양 생물종의 75%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 6600만 년 전 대멸종 당시 함께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상어나 대왕쥐가오리는 대멸종 이후 새롭게 출현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반복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대량 살처분만이 정답일까
과학동아
l
2021.03.20
걸러지기 때문에 다량의 바이러스가 침투하지 않는 한 인체에 감염되지 않는다.
다만
일단 감염되면 34.7%라는 높은 치명률을 보인다. 일반적인 AI와 달리 고병원성 AI가 문제인 이유는 인류와 가장 친숙한 가금류인 닭과 칠면조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감염도 빠르고, 일단 감염되면 치명률도 90%에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