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릴 만점! '나만의 롤러코스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바퀴 슝~ 회전해도 떨어지지 않은 게 바로 그 이유야. 중력보다 센 ‘원심력’이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기차가 레일에 찰싹달라붙었던 거지.재호 : 원심력이요?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섭섭박사 : 원심력은 물체가 원운동을 할 때 원 밖으로 나가려는 힘이야. 물이 든 양동이에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납작해진다. 큰 몸집을 지닌 동물은 자신의 몸무게를 이기기가 쉽지 않아 살 수가 없다.
반대
로 중력이 작은 행성은 지구보다 하늘하늘 키도 크고 덩치도 큰 생명체가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에너지 효율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죠프리 웨스트 미국 센타페이연구소 박사는 1997년 ‘사이언스’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개발한 것이다.찍찍이로 불리는 벨크로는 갈고리 모양의 섬모가 달린 면과 고리가 달린
반대
쪽 면으로 이뤄져 있다. 서로 대면 섬모와 고리가 맞물려 매우 강력하게 붙는다. 생체모방 벨크로를 탄생케 한 첫번째 ‘스승’은 게코도마뱀이다. 게코도마뱀은 발바닥에 50~1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섬모가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추가로 연결하면 충전량을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이 때는 블랙아웃이 벌어지는 것과
반대
의 순서로 전력망을 조금씩 살려 나가야 한다. 우선 발전소와 연결된 외부 전력망을 모두 차단한다. 그리고 소형 자가발전기 등을 이용해 발전기 내부 시설 중, 전기생산에 꼭 필요한 시설부터 자체 전기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배가 아픈 것은 장운동이 너무 활발해서일 수도 있지만
반대
로 너무 느려서일 수도 있다. 그런데 TV광고에서 배가 아프면 무조건 자사의 제품을 먹으라고 하니 무작정 따라하면 오히려 먹고 나서 복통이 더 심해질 수도 있다.제산제는 속이 쓰릴 때마다 먹곤 하는데 ... ...
퀘이사 탄생의 비밀은 ‘이웃 은하 도둑질’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급격히’ 상대 은하의 물질을 빨아들이면서 비롯됐다는 의견이 대세였다. 그러나 최근
반대
로 마치 이웃집 물건을 도둑질하듯 ‘천천히’ 이웃 은하의 물질을 흡수하며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케빈 샤빈스키 영국 예일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과 스피처우주망원경으로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밀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고도와 온도가 높아지면 공기의 밀도는 낮아진다.
반대
로 고도와 온도가 낮아지면 밀도는 높아진다. 공기의 밀도는 날아가는 탄환이 받는 공기의 저항과 비례한다. 따라서 공기의 밀도에 따라 탄환이 날아갈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진다.예를 들어보자. 해발 ... ...
오빤, 나보다 그게 더 중요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여자가 긴장형인 경우 여자의 소유욕은 남자의 연애 만족도를 떨어뜨렸습니다.
반대
로 남자가 긴장형 일 때 남자의 소유욕은 여자의 연애 만족도를 떨어뜨리지 않았습니다. 소년은 연애가 처음보다 덜 즐거워진 이유가 이것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둘은 애초에 잘 안 맞는 유형이었을지도 몰랐던 ... ...
특명! 오感감을 속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소리의 이런 특성을 이용한 것이랍니다. 사운드볼 바깥으로 나가는 소리는 모양이
반대
인 파장끼리 겹쳐져 아주 작아져 잘 안 들리게 돼요. 코를 속여라!짝사랑 해결사, 나만의 향기 칙칙!이번에는 냄새 하나로 모든 사람의 마음을 조종할 수 있는 분을 소개하겠습니다. 향기의 신, 구린내 ... ...
유리의 무한변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다. 예술가의 손에서 자유자재로 형태가 바뀐다. 때로는 기다란 파이프 끝에 묻혀져
반대
쪽에서 불어오는 예술가의 숨결을 고스란히 담아 부풀어 오른다. 칼과 집게에 다듬어져 섬세한 자태를 뽐내기도 한다. 커다란 석고 틀에 부어지면 거대한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난다. 이제 유리는 예술이다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