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설치
설치물
장치
센터
시설물
세트
d라이브러리
"
시설
"(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발전 추구를 들었다. 대학원생들은 대학원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연구비와 연구
시설
의 절대적 부족 △정실에 의한 교수채용와 교수 자의에 의한 커리큘럼 설정 등 교육의 비민주성 △석사과정 이수후 대부분이 유학을 가는 풍토 △프로젝트 위주의 연구 △교수와 학생의 봉건적·권위주의적 ... ...
세계 최초의 미사일 박물관 은퇴한 무기의 거인 TATAN Ⅱ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박물관근처에는 군사기관이 많고 자원봉사자도 넉넉하다고 한다. 관광객들은 이곳의
시설
, 장비등이 원래 모습과 상당히 다른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도 하는데 안내원들은 추진체(booster)가 비어있고 재진입장치가 제외된것 이외에는 모두 원래의 모습 그대로라고 설명한다 ... ...
서울의 하수처리
시설
끝내 한강이 더욱 맑아진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기존 하수도
시설
중 개포 가락 상계 목동등지 새로 개발된 지역에는 이미 이런 구조로
시설
되어 있다. 하수가 100%처리되면서 생기는 약간의 부작용도 적지 않다. 우선 각하천의 물이 하수처리장과 연결된 분류하수관으로 흐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하천의 유수량이 줄어 떠내려 가지못한 유기물질이 ... ...
PART1 종속이냐 자립이냐 앞으로 10년이 선택의 갈림길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하드웨어와 외국에서 도입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자료처리
시설
이 갖추어지고 있고 그 응용연구가 한창 진행중에 있다. 지금까지 우주개발사업에 관련된 몇가지 예를 든 바와 같이 아직은 우리나라의 우주과학기술 수준은 초기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3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국가별 우주개발유형은 (표5) 에서와 같이 우주공간에
시설
물을 설치하려는 우주개발주도국가 그룹과 산업적 측면에서 우주개발을 시도하는 우주기술 상품화국가 그룹, 그리고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우주기술에 필요한 우주기술 응용국가 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 ...
PC초보자의 손자병법 처음부터 전문가는 없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때 서울의 컴퓨터 학원이 무려 1백8개까지 이른적이 있었다. 과열되었던 열풍이 지나가자
시설
의 미비와 강사의 질적 문제 때문에 사설학원에서의 PC교육은 잠시 침체되었으나, 최근에는 IBM PC 호환기종의 활성화로 다시 각광받고 있다. PC사용자의 입맛이 맞을만한 강좌를 많이 개설하는 것이 최근의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거의 80%가 사용경험이 없던 연구자들이란 자료에 비추어 국내에서도 방사광 가속기
시설
이 가동할 시에는 학문적인, 산업적인 요청에 따라 방사광 관련연구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많은 경우에 사용자들이 사용목적에 따라 독특한 빔 라인을 건설하여 현재 외국에서 볼 수 있는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무중력(無重力) 상태에서의 각종 실험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들 우주 실험
시설
은 크게 둘로 구분을 할 수 있다. 하나는 스페이스셔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셔틀과 함께 지상으로 되돌아온다. 또 하나는 우주공간에 운반된 후에 모체에서 분리되어 우주공간에서 자유비행하는 자유비행체(free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5.7%에 불과한 극히 저조한 참여율이라는 것이다. 이런 저조한 참여율로는 선진국의 산업
시설
과 제도를 살펴보고 기능대학 학생들의 자질을 향상시킨다는 해외 산업체 견학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5박6일간에 학생 1인당 약 1백만원이 드는 경제적 부담 때문이다.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상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인공위성에 실린 센서(sensor)가 소련·미국의 주요
시설
탐지에 큰 몫을 할터인즉 이것도 골치거리가 되었다. 물론 이문제는 한국 측으로서도 보다 절실한 두통거리가 아닐수가 없다. 한국은 중공의 직격사정거리에 놓여지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이에 맞서는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