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자"(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과학동아 l1996년 06호
- 함께 풀어보기다음은 포도당이 호흡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단, 원자량은 H=1, C=12, O=16이다).${C}_{6}$${H}_{12}$${O}_{6}$(포도당)+6O₂+6H₂O→6CO₂+12H₂O+686㎉(1)오늘 점심에 밥을 든든히 먹었는데 알고보니 그 밥에는 포도당 200g이 들어있었다. 이 포도당이 모두 호흡에 ...
- 2. 반입자와 반물질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반비례 관계에 있다. 결국 원자 내부를 보려면 원자보다 작은 파장을 지닌 물질로 원자 내부물질과 충돌시켜야 한다. 에너지가 더욱 커지면 더욱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응용한 것이 가속기다.가속기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선형가속기이고, 다른 하나는 원형가속기인 싱크로트론이다. ... ...
- 1. 톱쿼크 발견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엔더슨이 양전자 발견. 이것은 반물질 발견의 첫개가였음.1935년 일본의 유가와 히데키는 원자핵 내에 양성자와 중성자들이 파이온이라는 입자를 끊임없이 주고 받으면서 생성된다고 생각. 또 그는 핵내에 중력과 전자기력 이외에 강력이 존재한다고 주장. 그의 생각은 1947년에 입증됨.1936년 앤더슨과 ... ...
- 2. 최고급 윤활유 가진 관절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마치 백두산을 거꾸로 뒤집어서 한라산 위에 올려놓은 것처럼 보인다.접촉점에 있는 원자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다가 물체가 밀리면 이 밀착이 파괴되고, 새로운 밀착점이 생겨나면서 물체의 운동을 방해한다. 이 튀어 나와있는 부분들 사이의 충돌로 인해 물체의 운동이 방해받기도 한다. 압력에 ... ...
- 1. 생활 속의 디지털과학동아 l1996년 04호
- 에니악은 모든 정보를 0과 1의 방식으로 처리한 '디지털시대의 메신저' 였다.디지털은 불, 원자력의 발견에 이어 세번째로 인류의 삶을 바꾸는 동력이 되고 있다. 가정의 생활 필수품이던 TV 오디오 라디오 등 가전제품도 '정보가전' 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재탄생하고 있고, '디지털의 화신' 컴퓨터는 ...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과학동아 l1996년 04호
- 별 쓸모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고 원자의 구조와 생성원리, 더 나아가서는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원소가 발견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원소가 붕괴되는 과정을 역으로 계산한 ... ...
- 5. 디지털 전도사 네그로폰테와 미디어 랩과학동아 l1996년 04호
- 주장에 따르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여러 필수품의 성격은 물질의 구성단위인 원자에서 정보의 최소 구성단위인 비트로 교체된다. 네그로폰테는 이런 변화가 얼마나 극적인 결과를 가져오는가를 다양한 예를 들며 우리에게 보여준다.비트는 '0'과 '1'로 구성돼 컴퓨터 디지털 언어를 ... ...
- 2. 물질의 반응성-생활 속 소재탐구과학동아 l1996년 04호
- 이산화규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산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그림4). 또 각 원자들이 강하게 결합돼 있어 항상 녹는점이 높다. 내화성이 있는 석면은 딱딱하게 만들어 건축자재로 이용한다(그림5). 석면은 긴 섬유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벽의 단열재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요즘 ... ...
- 공룡은 암에 걸려 멸종됐다.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있다. 그러나 만일 땅을 뚫고 충분히 통과한다면 그중 몇은 생물체를 이루는 조직의 원자 핵과 충돌할 수 있다. 이 일이 일어나면 핵은 충돌로부터 되튀겨나온다. 콜라 박사는 이같은 반동이 DNA에 손상을 주며 암발생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일으킨다고 주장한다.그러나 이것이 얼마만큼 조직에 ...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과학동아 l1996년 02호
- 만들어낸 것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E=mc²이라는 공식이다. 이 공식은 훗날 원자폭탄을 만들어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 엘리베이터 사고실험에서 출발특수상대성이론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수상대성이론은 관성계에서만 성립했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이 '특수'라는 이름을 붙인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