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답
정답
해답
해소
해결
해법
d라이브러리
"
정해
"(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원로영양학자 이기열박사는 충고한다.실제로 20대 초반에 지방세포의 수가 일단 확고히
정해
지면 그 이후로는 숫자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체중의 증감에 따라 지방세포의 수가 늘거나 줄지 않는다는 얘기다. 그 대신 에너지섭취량과 운동량 등에 따라 세포의 크기(용적)가 달라질 뿐이다.따라서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사이에 라디오 FM 방송이 일부구간(88~108㎒)을 점유하고 있다.VHF방송에 12개의 채널이
정해
진 것은 임의적인 것만은 아니다. 공중에서 하나의 전파가 이동할 때 다른 전파와 부딪쳐 혼신, 감쇄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려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구간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흔히 주파수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대부분의 의사들은 아직도 소금 속의 나트륨이 고혈압 유발의 원인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믿음이 옛날만큼 강하지는 않다.소금은 고혈압유발의 주범인가.그간 식이요법의 움 ... 칼슘도 많이 들어 있다. 칼슘섭취량을 적절히 늘리지 못하는 환자들에게는 먹어야할 양을
정해
주기도 한다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낙관적인 사람은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했어도 털고 일어나 다시 도전할 수 있다.
정해
진 왕도(王道)도 없고 뚜렷한 성공의 보장도 없는 발명의 외길을 걸으려는 사람에겐 그래서 이 낙관을 체질화하라는 충고가 적잖이 주어진다. 실패했을 때 딛고 일어설 지팡이가 되기 때문이다.이달에 만난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회계감사를 받아야한다는 항목이 들어있었다. 그래서 대통령한테 달려가 당장 개
정해
야겠다고 말하고는 67년 3월 임시국회에 개정안을 냈다.국회에서는 시행해보지도 않고 개정안이라고 펄쩍 뛰었다. 결국 내가 국회의원들 앞에 직접 나가 "과학기술이 정말로 우리나라 발전에 기여할 거라고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곳에 있다. '개선'도 발명많은 사람들은 정상에 오를 수 있는 사람은 이미 태어날 때부터
정해
져 있다고 믿는다. 또 이들은 세상에 분야는 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전해보지도 않고 포기해버리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지구상의 직종에는 수천 분야가 존재한다. 그 중에는 수십년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자체를 스스로 정립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주문적으로 오는 경우는 이미 수요가
정해
져 있어 수요처에서 사용자 요구사항을 제시하게 돼 있고, 개발자는 이를 기술적인 요구사항으로 변환해 결국 개발을 하기 위한 설계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는 수요가 이미 있으니 개발을 위한 설계 ... ...
한글로 자료관리하는 공개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만들어진 필드에는 영문과 한글의 필드이름이 들어 있고 필드의 길이, 타입 등이 미리
정해
져 있다.데이터파일의 틀을 만들었으면 자료를 입력할 차례다. '입력'을 선택하여 화면에 출력된 양식대로 자료를 입력한다. 잘못된 입력은 '수정'에서 고친다. 수정에서는 메모필드의 내용도 수정 또는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돌아갔다.그 이름은 최초의 프로그래머인 어거스터 에이다의 이름을 따서 에이다로
정해
졌다. 에이다는 국방관련 프로젝트와 같은 대형프로젝트에 적합하게 설계됐다. 패키지구조, 추상적 자료제공, 구조적 프로그래밍기법 등 현대의 첨단 프로그래밍 기법이 완벽히 녹아있었다. 남은 것은 그러한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과학기술협력협정 체결 외에도 6공정부는 90년을 '국제공동연구협력기반 조성의 해'로
정해
해외주재과학관(科學官)의 수를 늘리는 등 과학외교에 적잖은 관심을 보여왔다.과학기술교류통로를 다변화하려는 이런 노력은 단순한 정치적 포석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즉 88올림픽의 개최 이후 하루가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