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들어올 수 없다. 파일들의 대피소인 셈이다. 아리트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들을 대피소에 백업시킨다. 이 대표는 “랜섬웨어를 막기 위한 여러 기술이 있지만, 결론은 안전한 백업”이라며 평소 백업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랜섬웨어가 주로 플래시를 이용해 퍼지기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보니 한 번 만든 비밀번호를 여기저기 계속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컴퓨터공학과 로리 패이스 크레너 교수가 같은 학교 교직원 및 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한 번 만든 비밀번호를 다시 사용하는 사람은 80%에 육박했다. 로리 교수는 TED 강연에서 "정작 사용하는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한 달 뒤 사진을 한 자리에 모아서 보니, 확실히 물 색깔이 매일 변하더라고요. 그래서 컴퓨터로 사진 속 물 색을 분류해서 정리했어요. 색 이름은 촬영 날짜로 했지요. 저는 이 색을 이용해 스카프를 만들었어요. 평소에도 되도록 자연이 준 색깔을 작품에 담으려고 해요.”카르호프의 작품은 모두 ... ...
- [수학뉴스] 사람의 신체 나이, 3차원 사진으로 분석!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상의 실험 참가자들은 차이가 더 컸습니다.이번 연구를 이끈 한징동 중국과학아카데미 컴퓨터생물학과 교수는 “3차원 얼굴 사진 분석은 혈액 분석보다 신체 나이를 더 정확하게 알아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앞으로 이 모델은 환자의 신체 나이를 분석해, 노화 정도에 따라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원래의 모습은 그대로 두고 사진의 일부만 변형하는 기술입니다. 컴퓨터는 사람의 왼쪽과 오른쪽 모습을 찍은 사진을 각각 3차원 데이터로 인식한 뒤, 두 사진의 대응점을 찾아 한 장의 사진으로 만듭니다.사진을 한 장으로 처리한 뒤에도 점과 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연결하고, 헤엄칠 때마다 어떤 신경이 반응하는지 기록했습니다. 신경 회로를 분석해 컴퓨터에 입력하더니, 다들 저한테 똑똑한 녀석이라며 박수를 보내는 거예요.저는 단지 빨리 가기 위해 양쪽 헤엄다리를 번갈아 저었을 뿐인데, 연구팀의 분석 결과 양쪽 다리를 동시에 젓는 것보다 30% 이상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있다는 게 아인슈타인의 설명이었습니다. 치명적인 매력, E=mc²우리가 고기를 구워 먹고 컴퓨터로 게임을 할 수 있는 건 모두 E=mc² 덕분입니다. 시작은 태양입니다. 압력과 온도가 매우 높은 태양 안에서는 수소 원자 4개가 결합해 헬륨 원자 하나로 변하는 일이 반복됩니다. 이때 남은 질량이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뽀로로 보면서 영어 배우는 상상력 기계최근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이하 뽀로로)’의 영어판를 보고 스스로 학습하는 ‘상상력 기계’를 개발했다. 이 기계는 5살처럼 뽀로로를 보면서 영어를 배운다. 상상력 기계는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고개를 끄덕이며 우렁차게 대답했다. 게임 나와라, 뚝딱!올해 게임카페에서 독자들이 컴퓨터로 진짜 게임을 만들어 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평소 코딩을 자주 다루거나 SW 교육을 받아 본 독자도 있었지만, 생전 처음 코딩을 접하는 독자도 있었다. 어려울까 걱정하는 몇몇 독자들에게 오 교수는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황소개구리의 심장박동에 관한 연구 논문이 실렸다. 미국 라이스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랜들 라스무센 교수팀은 심장병을 앓고 있는 황소개구리에게 심장박동기를 이식했다. 그리고 심장박동기에서 발생하는 전기 자극이 어떤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기 위해 수학 모델을 활용했다. 이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