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22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4.04
않고도 강력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걸까.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4개의 위성군으로 구성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agnetospheric Multi-Scale, MMS) 위성을 지난해 3월 발사했다. MMS 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자기권 플라스마의 밀도, 온도, 자기장, 전기장을 직접 측정하고 있다. ... ...
3D 가상현실(VR)로 원전 해체 현장 체험해보니
2016.04.04
안전설계에 가상실증실험실을 활용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독일 에어버스는 우주정거장 등 인공 구조물 건설과 우주 비행 시뮬레이션에 이 시스템을 활용한다. 핀란드 기술연구센터(VTT)는 도시 경관과 도면 검토에 이를 활용하고 있다. 건설연은 위성으로 수집한 지리 정보와 도면 ... ...
“온난화 지속되면 2100년엔 뉴욕, 홍콩, 상해 바다속에 잠겨”
2016.04.03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연구진은 1월 9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위성 ‘랜드샛 8호’가 촬영한 남극 서쪽 아문제해에 있는 ‘스웨이트 빙하(Thwaites Glaciers)’의 모습을 분석했다. 빙하 끝부분 얼음절벽엔 색이 다른 여러 층으로 이뤄진 빙하의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진은 이 흔적을 통해 약 1 ... ...
따사로운 봄날에 ‘시월의 하늘’을 그린다
2016.04.02
냉전시대 적국의 인공위성 발사로 충격에 빠진
미국
민을 추슬러야 했다. 국가 개조 수준의 대응이 뒤를 이었다. 연구개발 조직인
항공우주국
(NASA)과 국방부고등연구계획국(DARPA)을 세운 건 당연한 절차였고, 이 정도로도 달에 사람을 보낼 수 있었으니 성공적인 위기 대응이었다. 그런데 그게 다가 ... ...
존 홀드런 “科技정책 지속하려면 분명한 성과 보여줘야”
2016.03.31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파리 기후변화 협정은
미국
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타결됐다. 올해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예산은 지난해보다 7.1%나 늘어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기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홀드런 실장은 “
미국
정부가 과학기술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2016.03.31
우주에도 닭이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2000년 11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보자. 마치 새 한마리가 날개를 접고 고개를 숙인 채 맛있는 모이를 먹고 있는 모양처럼 보인다. 새의 정체는 잘 알 수 없으니 닭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 사실 사진의 주인공은 거문고자리에 ... ...
통신 두절 4일째,日 천체관측위성 ‘히토미’
2016.03.30
JAXA)가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
(NASA) 등과 공동으로 개발한 X선 천체 관측 위성이다. 지난달 17일 H2A 로켓에 실려 발사돼 지상 580㎞ 궤도에 안착했다. 조나단 맥도웰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연구원이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위성 히토미의 시간에 따른 위치 ... ...
지구보다 수백 배 강력한 ‘목성 오로라’
2016.03.27
에너지가 수백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공 최근 종영한 ‘꽃보다 청춘’ 아이슬란드 편 이후 오로라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이런 가운데 최근 지구의 오로라보다 수백 배 강한 오로라가 목성에서 관측됐다. 제이미 제이신스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UCL) ... ...
하늘을 나는 불사조~ 아이슬란드 오로라 피닉스
팝뉴스
l
2016.03.27
아이슬란드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지난주
미국
항공우주국
이 오늘의 사진으로 선정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촬영 장소는 아이슬란드이다. 사진의 후경에 보이는 산은 헬가펠산이고 앞은 칼다 강이다. 검은 어둠 속으로 날아오는 거대한 불사조. 압도적인 위용을 자랑하면서도 신비감을 일으킨다. ... ...
혜성에 간 ‘로제타’도 명왕성 간 ‘뉴호라이즌스’도 ‘이것’ 탑재
2016.03.25
수 있는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제작됐다. -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공 2014년 인류 최초로 혜성의 표면을 촬영한 탐사선 ‘로제타’와 지난해 지구에서 약 50억 ㎞ 떨어진 태양계 최외곽의 명왕성을 촬영한 탐사선 ‘뉴호라이즌스’에 탑재된 카메라는 모두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제작됐다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