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생각하기 어려웠던 물질구조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을 크기에 따라
분리
하기 위해 아가로스 젤을 만들 경우 지금까지는 구멍의 크기 (엄밀히는 아가로스 고분자의 성긴 정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유형뿐이었다. 그런데 레이어드 라테 현상을 이용하면 구멍 크기가 불연속적으로 ... ...
“아마존 서식 ‘황금왕관 마나킨’은 교잡으로 탄생한 새 종”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그리즐리베어와 교잡한 사례가 보고됐다. 북극 지역의 얼음 때문에 서식지가 완전히
분리
돼 있었던 일각고래와 흰돌고래가 만나 교잡한 사례도 있다. 특히 북극곰과 갈색 그리즐리베어 교잡종은 최근에도 계속 발견되고, 2세대도 보이는 만큼 교잡이 계속된다면 황금왕관 마나킨처럼 하나의 종으로 ... ...
양자통신 핵심 부품, 국내서 세계 최초로 소형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암호를 풀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수행하는 편광 정보 네 종류를 한 데 모으거나
분리
시키는 장비와, 빛 알갱이를 검출하는 장비 등을 모두 통합해 길이 4㎝ 크기의 반도체 칩 안에 넣는데 성공했다. 조석범 SKT 종합기술원 퀀텀테크랩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에 대해 “무선 양자정보통신 ... ...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
과학동아
l
2017.12.28
오래된 인류 화석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동굴이 너무 어두워 화석을 손상하지 않고
분리
하는 데 무려 20년이나 걸렸다. 특히 두개골은 부서지기 쉬운 데다 콘크리트와 유사한 ‘각력암’에 묻혀 있었기 때문이다. 위트와테르스란트대 론 클라크 교수팀은 묻혀 있는 뼈 부분을 조심스럽게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슛~골인! 축구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28
되거든요. 리벳으 로 고정된 축구 로봇은 경기 중 다른 로봇과 부딪히거나 땅에 떨어져도
분리
되지 않는답니다. 축구로봇의 리벳은 실제 리벳(오른쪽)을 본떠서 만들었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내가 만든 로봇으로 3:3 축구 대결!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기자단 친구들은 축구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7.12.22
어떤 세포에서 나왔는지 알려주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소변과 혈액에서
분리
한 나노 소포체의 유전정보를 분석하면 어떤 미생물이 장 속에 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대장내시경 검사 권고검사를 받고 약 3주가 지난 뒤 결과가 나왔다. 분석 결과에는 낯선 미생물 이름이 40종가량 적혀 ... ...
뇌 속에 넣을 수 있는 안전한 '신경전극'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완성된 전극을 70℃의 고온과 산성 환경(질산)에 한 시간 이상 담가 극한 환경에서 서로
분리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질산은 전극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표면처리를 할 때 쓰는 물질이다. 또 김민선 원광대 의대팀과 함께 직접 쥐의 뇌에 신경전극을 삽입한 뒤 쥐에게 인위적으로 발작을 ... ...
[NASA화보] SpaceX의 우주화물선 드래곤, 3일간의 도킹일지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우주선은 플로리다에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이륙한 후 팔콘 로켓 상단에서
분리
되었다. NASA 제공 12월 16일 : 궤도를 빙빙 돌며 명령을 기다림 국제우주정거장이 호주와 파푸아뉴기니 사이의 상공을 지나는 동안 지상 관제 센터에서는 정거장의 하모니 (Harmony) 모듈에 로봇 설치를 ... ...
김 교수팀, 수소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었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만들어진다. 반대로 산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이라면 연료극에서 수소가 만들어지고
분리
된 산소 이온은 전해질을 거쳐 공기극으로 나온다. 전극이 두 개지만 전기분해는 한 쪽에서만 이루어져 효율이 낮다. 연구팀이 효율을 높일 수 있었던 비결은 수소이온 전도성 전해질의 새로운 특징을 찾아낸 ... ...
“바이오시밀러 도핑, 꼼짝마라!”…평창올림픽 준비하는 KIST 도핑컨트롤센터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7.12.11
항원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결합시켜 소변 시료와 섞어 준 뒤, 다시 자석을 이용해 물질을
분리
해내는 방법이다. 선수의 소변에 표적 약물 단백질이 있으면 항체에 붙잡혀 나오게 되는 원리다. 시료의 전처리 과정도 필요 없다. 이 기술로 DCC는 인슐린 및 유사 물질 검출 부문에서 세계반도핑기구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