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스페셜
"
인공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규범에 따라 결정을 내릴 것이다. 이런 접근 방법은 사람의 사고체계와 비슷해 윤리적인
인공
지능을 만드는 데 가장 옳은 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람도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복잡한 상황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존 사례에서 윤리적 추론을 끌어내는 프로그램도 있다. ‘메드에덱스(MedEthEx ... ...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
물질들
KOITA
l
2015.02.09
인간의 지성은 종종 놀라운 일을 해낸다. 새삼스레 이야기할 것도 없이, 지금 사람들이 ‘기본’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간단한 기술들도 불과 50년 전만 해도 상상조차 할 수 없던 것들이다. 그리고 지금도 상상만 하던 신기술들이 실현되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미래는 어쩌면 생각보다 가까이 와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초속 9.9km에 지구의 공전속도 초속 30km가 더해져 탐사선은 초속 39.9km의 속도를 가진
인공
천체가 된 것이다. 무려 5년이 넘는 시간을 들여 복잡하고 어려운 중력 도움을 받아 로제타호의 혜성추적이 시작된 것이었다. 보통 탐사선의 경우 목표 천체로 이동하는 동안 전력 소비를 최소화해 배터리와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20여년간 꾸준한 연구 개발과 인력 양성에 기인한 바가 크다. 여러 기관에서 생체 모방형
인공
팔, 재활 로봇, 노인 생활 보조기기 등에 대한 의미 있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곧 산업적으로도 충분한 성공을 거둘 날이 멀지 않았다. 물론 앞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는 많다. 영구적으로 사용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
인공
눈’
2015.01.20
누구나 선글라스만 쓰면 앞을 볼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인공
눈 기술이 ‘시각장애인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도움말: 서종모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callme@snu.ac.kr)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
인공
와우’
2015.01.20
초저가
인공
와우뿐만 아니라
인공
기저막을 활용한 완전이식형
인공
와우 등 차세대
인공
와우 기술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기술이 전 세계 청각장애인들의 재활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전 세계적으로 13,000여명에 달하며 초기 수술자들 중 일부는 아직도 생존해서 매일같이
인공
심장 이식 생존율의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중이다. 끊임없이 박동하는 심장의 고동만큼 건강한 삶을 위한 인류의 노력도 끊임없이 고동치고 있는 중인 셈이다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인터넷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문제는 이 서비스가 상당히 고가라는 점이다.
인공
위성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에어아시아 같은 저가항공사는 이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장거리 교신이 가능한 단파 무전기로 주기적으로 항공기의 자기 위치를 가까운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아산의 외암민속마을과 전남 순천의 낙안읍성 등에도 도랑이 있다. 우리나라의 도랑은
인공
적인 건축물 주변으로 물만 흐르는 독일의 도랑과 달리 자생식물과 물고기가 서식하고 자연을 정화한다. 이런 도랑은 가가호호를 가로지르는데, 집 내부를 지나거나 구불구불 돌담길을 타고 흐르기도 한다.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게다가 그림의 표현 방식은 요즘의 위성 영상과 놀랍도록 닮았다. 이 때는 최초의
인공
위성이 우주로 올라간 때(1957년)보다 한 세기 이상 앞선 시대였다. 목숨 걸고 만든 첫 해류지도 오늘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에 얻을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