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스페셜
"
지적
"(으)로 총 2,1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수진 vs 빠져나갈 구멍 만들기, 어떤 것이 목표달성에 효과적일까
2016.09.06
큰 일(주식으로 대박을 내겠다는 계획 등)의 경우 대비책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지적
했다. 다만 스스로의 힘으로 할 수 있고 실패 또한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는 일이라면 지레 겁부터 먹고 도망갈 자리부터 봐두느라 바쁜 나머지 원래 가려던 길이 매력 없어 보이거나 방향을 못 찾게 되는 ... ...
세균 싹~ 잡는다던 트리클로산, 왜 치약에서 사라졌을까
2016.07.31
최근 트리클로산을 놓고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간암을 유발한다는
지적
이 나오는가 하면 체내로 흡수돼 장내 미생물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트리클로산은 약 40년 동안 활용된 항균제로 많은 종류의 세균을 없앨 수 있다. 트리클로산이 간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 ...
성차별, 백인/남성이
지적
하면 개선 효과 크다
2016.07.26
사람은 무기력하지 않고 유능(competent)하다는 평가를 얻기도 한다고 한다. 차별을
지적
했을 때 이를 계기로 서로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노력으로 나아갈 경우 관계가 개선되는 효과도 나타난다고 한다. 오랜 차별에 억압받아온 사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숨통을 트고 앞으로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하다. 물론 필자가 사람과 함께 일하는 동물들의 실상을 몰라서 하는 소리라고
지적
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실제 코끼리의 경우는 말을 듣게 하려고 꼬챙이로 쿡쿡 찌르며 학대하는 장면이 TV에 방영되기도 했다. 소의 경우도 쟁기를 끌게 하려면 송아지가 어느 정도 컸을 때 코뚜레를 꿰뚫어야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말했겠지만 필자도 나이가 먹다보니 나름 갈등이 컸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즉 평생
지적
호기심을 원동력으로 살아온 그에게 원자폭탄이 실현가능한가라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을 본인이 최초로 제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현실은 거부하기 힘든 유혹이었을 것인 동시에 그렇게 해준 권력이 ... ...
여성이 관계할 때 흥분한 연기를 하는 이유는?
2016.07.12
없지만, 그것이 성관계시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는 현실을 숙고해봐야 한다고
지적
했다. 여성들이 빨리 끝내고 싶다거나 그만하자고 확실히 의사를 표현하는 대신 굳이 ‘연기’라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그것이 몇 마디 말보다 더 간편하고 안전한, ‘현실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임을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
IBS
l
2016.07.05
"현재의 기술은 새로운 기술이라기보다는 융합기술의 부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지적
했다. 그렇다면 미래에는 과연 어떤 기술을 개발해야 할까. 문 총장은 '상상력(imagination)'을 강조했다. 미래의 기초과학을 위해서는 더 이상 '따라 하기 과학(following science, me-too-science)'이 아닌 참된 연구(True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전립선암이 많이 진행된 상태의 모우드는 힘겹게 현장을 돌아다니며 세세한 부분까지
지적
하며 발굴을 독려했다고 한다. 그에게 호빗의 역사를 무려 70만 년 가까이 끌어올릴 발굴을 지켜볼 기쁨을 안겨주기 위해 고작 1년의 시간조차 유예해주지 않은 자연의 무정함이 새삼 서글프다. ※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오랫동안 우주론을 연구해온 그는 최근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진 블랙홀에서도 빠져나갈 구멍이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 ...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
이 나오고 있다.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실험이 멋지게 재현된 것이다. 아울러 마제루스는 케틀웰 실험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
된 장소 문제도 실험을 해봤다. 즉 야생에서 얼룩나방은 나무기둥에서 낮을 보내지 않는다는 비판의 정당성을 알아본 것이다. 그 결과 낮에 얼룩나방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곳은 나뭇가지로 52%에 이르렀고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