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생활]별자리도 조금씩 변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고유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고유운동’이라 해요. 고유운동을 처음으로
발견
한 사람은 18세기 영국의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예요. 그는 1718년, 20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가 기록한 별의 위치를 검토했어요. 그러자 시리우스를 포함한 몇몇 별들의 위치가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연구원팀이 흑점이 ‘240년’ 주기로도 활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새로운
발견
에 연구팀이 이용한 도구는 거대한 천체망원경이 아닌 우리 선조가 남긴 오래된 기록이었습니다. 연구팀은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흑점 관측 자료 55개에 중국의 중요한 사서 기록을 포함해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의과대학 교수가 취미 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더 활발해지는 부분을
발견
했습니다. 바로 뇌의 바깥쪽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네트워크(default network)’죠. 우리의 뇌는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활성화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창의력과 밀접한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가설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라며 “사람에게도 감마파 리듬이 존재하는 만큼 이번에
발견
한 뉴런이 영장류와 인간에게도 존재하는지 추가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oi:10.1016/j.neuron.2019.06.01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살펴본 결과, 실험참가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단어가 나왔을 때 뇌파가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doi:10.1038/nn1504 이외에 음절의 길이나 띄어쓰기 여부도 단어를 인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최 교수는 “모든 언어 인식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어는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독자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프로테아좀을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을 새롭게
발견
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nature09299 프로테아좀의 작용 속도를 조절하는 화합물의 기능을 확인하려면 해당 단백질에 화합물을 뿌린 뒤 효과를 관찰해야 한다. 이를 빠르게 자동화시킨 기술이 이 ... ...
국내 최대 개미왕국의 운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사는 왕개미야. 내가 왜 나왔냐고?혹시 지난 2015년 안양에서 거대한 왕개미 왕국이
발견
됐다는 뉴스를 본 적 있니? 그동안 이 지역을 ‘보존한다’,‘개발한다’를 두고 말이 많았어. 그런데 이제 곧 안양시가 우리가 사는 곳을 개발한다고 해. 그래서 걱정이란다. 우리 이야기를 들어볼래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무리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나타난 현상으로 보이지요. 왕개미 초군체가
발견
된 사례는 아직 우리나라가 유일하답니다. 그래서 개미 초군체 연구는 개미의 생태를 알기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되지요 ... ...
휴양지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알려야 한다는 생각에 부리나케 이 새로운 도형의 성질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잠깐 제가
발견
한 도형을 볼래요?뫼비우스의 띠는 길게 자른 종이 띠의 한쪽 끝을 180° 돌린 뒤, 양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는 도형이에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다는 독특한 성질이 있지요. 아마도 이 띠를 이용해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개수 역시 피보나치 수가 됩니다! 특히 야자수에서 이와 같은 피보나치 수열을 흔히
발견
할 수 있습니다. ❶번 잎사귀와 같은 방향에 있는 ❾번 잎사귀가 나오기까지 5번의 피보나치 수의 나선을 갖고, ❶번과 ❾번 사이의 잎사귀 개수도 8장으로 피보나치 수다. 식물의 생장 비밀을 파헤쳐라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