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11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중성미자 논란5. 중국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국내]1. 과학벨트 거점지구 확정2. 구제역 창궐3. 줄기
세포
치료제 세계 최초 개발4. 거대블랙홀의 별 포식 장면 관측5. 이종 장기 이식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고를 할 수 있게 되겠지요. 진짜 인간의 뇌
세포
도 ‘뉴런’이라는
세포
에서 주고받는 전기자극으로 움직이는 것이니까 언젠가는 ‘사람과 똑같은 기능을 하는 인공 뇌’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연구팀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뇌를 다 만들었다면 그 다음엔 여러 가지 학습을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촉감, 압력도 여러 종류로 구분해서 느낀다. 사람의 피부에는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감각
세포
가 가로 세로 1mm당 한 개꼴로 분포한다. 촘촘한 분포 덕분에 눈으로 보지 않아도 손으로 섬세하게 곡면의 굴곡을 느낄 수 있다. 촉감이 발달한 사람은 촉감만으로도 여러 가지 과일을 구별할 수 있다. 이런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방법을 시도한 학자가 있었지만, 주로
세포
핵 유전자를 썼기 때문에 번번이 실패했다.
세포
핵 유전자는 배우자의 유전자와 서로 섞이기 때문에 유전자 재조합 현상이 자주 일어났고, 어떤 변이가 얼마나 일어났는지 연구하기가 대단히 까다로웠다.칸 교수는 크기가 작고 어머니에게 서 유전돼 ... ...
생명과학 - 생물과 무생물 사이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생명과학이란 생물권 안에서 생물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부터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
와 그 안의 분자에 이르기까지 생물 속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번 호에서는 생명체가 가진 특성에 대해 살펴보자.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열기가 두렵다. 문을 여는 순간 코를 찌르는 암모니아 냄새와 구린내가 한꺼번에 후각
세포
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 구린내의 대표적인 물질은 스카톨(skatole, C9H9N)과 인돌(indole, C8H6N)이다. 스카톨은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립토판이 분해돼 생기는 물질이다. 인돌은 썩은 단백질이나 포유류의 ... ...
암
세포
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넣어도 괜찮은지를 완벽히 증명하지 못했다. 또 바이러스 항암제를 써도 살아있는 암
세포
는 여전히 많다. 워낙 돌연변이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이들을 모두 죽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하나씩 풀어가는 게 남은 과제다. 다음 임상시험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생각한다.이제 JX-594는 두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부분인 변연계(감정과 기억을 담당하는 대뇌 반구 안쪽 영역)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신경
세포
의 전기적 활성화임은 분명하다.”‘과학동아’ 2004년 6월 특집기사 ‘사랑은 뇌가 한다-내 사랑은 로맨스일까 에로스일까’의 일부다. 성적인 흥분은 성기의 말초신경에 가해진 말 그대로 ‘말초적인’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리포만난을 쥐에 각각 주사했더니 결핵균에서 분리한리포만난을 맞은 쥐에서는 면역
세포
를 불러오는 신호전달물질인 ‘TNF’가 더 적게 만들어졌다. 이 리포만난이 TNF의 생산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에 작용해 TNF 생산을 방해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혔다. 슐레진저 교수는 “수세기동안 결핵균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 있는 측정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생체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심혈관
세포
와 면역
세포
를 대상으로 독성 반응을 조사하고 있다. 남 교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생체연료전지는 원천기술로,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전망했다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