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어떨까?이무기를 기를 때 가장 중요한 건 사육사와 얼마나 교감을 잘 하느냐다. 만약
영화
에서처럼 사람을 공격하면 어떡하지? 다행히 뱀은 절대로 사람을 먼저 공격하지는 않는다. 대신 먹잇감이 있을 때 건드리거나, 마주쳤을 때 먼저 움직이면 자기를 공격하는 줄 알고 상대방을 위협한다. 야생의 ... ...
켁! 기절 시키는 게 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보면 정신적으로 큰 긴장감을 받는데, 이걸 풀려고 더 큰 긴장감을 찾는다는 거예요. 공포
영화
를 보거나 암벽 타기, 번지 점프가 비슷한 예지요.”“게다가 요즘 어린이들은 웬만큼 잔인하거나 무서워서는 눈도 꿈쩍 안 해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게임만 봐도 얼마나 잔인한지…!”요즘 어린이들은 ... ...
세계 7대 불가사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전화로 진행된 이번 투표에는 세계에서 1억 명이나 참가했대요. 이 행사는 스위스의
영화
제작자인 베르나르드 베버가 주도했어요.고대의 7대 불가사의는 ▲이집트의 기자 피라미드▲바빌론의 공중정원 ▲올림피아의 제우스상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로스 영묘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차에 탄 뒤‘어린이과학동아로’라고 명령을 내리면 자동차가 알아서 움직인다. 이런
영화
같은 일이 미래에는 가능해진다. 그것도 멀지 않은 2014년에 이런 자동차를 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운전자가없어도알아서잘가는 자동차는 이미 있다. ‘스탠리’라는 이름의 무인 자동차는 2005년 10월 ... ...
여름의 적을 이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없군. 물놀이를 못 하는 것도 서러운데 해적선 안은 눅눅하고 후텁지근. 재미있는 만화
영화
를 봐도 기분이 나아지지 않아. 으아~, 짜증나! 누가 건드리기만 해도 마구 화내며 싸울 것 같아. 도대체 내 기분이 왜 이런 거지?얼마나 불쾌한지 알아?온도와 습도가 높아 눅눅하고 후텁지근하고 끈적끈적한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소나를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월'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이다함교(bridgefin)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대령숙수는 영원히 끝나지 않을 조선의 정신을 아뢰었던 겁니다.” 최근 개봉한
영화
‘식객’(원작 허영만)의 한 대사다. 소고기와 토란대 같은 식품이 조선인의 정신을 반영한다는 말은 음식이 곧 민족과 연관이 깊다는 뜻과 일맥상통한다.최근 음식이 사람의 유전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 ...
응어리진 한을 푸는 과학수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궁녀의 삶은 과학수사로도 풀기 힘들 만큼 한으로 응어리져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영화
는 월령이 낳은 세자가 왕으로 책봉되며 끝나지만 궁녀에 얽힌 끝없는 미스터리는 그 궁금증을 진하게 남긴다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값싼 셀룰로이드는 금세 상아당구공의 자리를 차지했고 머리빗이나 보석, 인조치아,
영화
필름, 탁구공의 재료로 사용됐지. 하지만 85~100℃의 열을 받으면 물렁물렁해지고 불에 타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어.뒤이어 등장한 베이클라이트는 상아당구공을 대체한 것뿐만 아니라 열을 가하면 어떤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남제호 박사는 “숫자나 기호 같은 매우 중요한 정보뿐만 아니라 방송이나
영화
의 콘텐츠에도 개인용 PDA나 휴대전화를 이용해 색상을 변환하는 기술이 널리 적용될 것”이라며 “미래에는 색각장애우 스스로가 남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모니터링해주는 시스템도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