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불가능을 현실로 만드는 메타버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물고기가 하늘을 날아다니고, 내 코앞에서 인기 아이돌이 나만을 위한 공연을 하는 상상! 한 번쯤 해봤나요?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증강 현실보다 더 큰 개념 ... 세계로 나눠 알아본 메타버스. 이제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알겠다면 여러분이 직접 상상해보는 건 어떨까요 ...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공룡이 모두 사라졌을 시점이기 때문이죠. 대신 기후를 불안정하게 해 지구의 회복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다만 이정현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은 오차가 1% 내외로, 약 6600만 년 전이라면 오차 범위는 66만 년이다. 따라서 다른 ... ...
- 수소경제 실현, ‘생산·저장·운송’ 해결해야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오늘날 수소는 ‘친환경 연료’란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수소에너지를 사용할 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수소를 만들 때 온실가스가 ... 아니라, 화석연료 중심의 경제에서 수소를 중심으로 한 수소 경제로 전환해가는 과정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 ...
- 보행의 영역이 모빌리티의 영역으로│이진복 올룰로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위험 상황을 맞닥뜨리면 경고음을 울리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진동 센서를 활용해 도로 노면 상태에 관한 데이터도 수집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주행을 최적화하고 파손 및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신고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자동차도 도입 초기에는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에 대한 ... ...
- 운전 약자·도시 문제 해결 앞당긴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맞춰 새로운 도시를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할 것인가’라는 세 가지 이슈를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자율주행차와 플라잉카는 도시의 모습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변화에는 사용자의 새로운 아이디어도 중요하게 된다. 미래 모빌리티와 ... ...
- [특집] 놀이터의 어제와 오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우리가 원하는 놀이터를 만들기 위해선 놀이터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해. 우리 아빠, 엄마, 할머니, 할아버지는 어떤 놀이터에서 놀았을까? 지금 형태의 ... 과정에 참여하는 놀이터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놀이터의 주인인 어린이의 의견을 반영해 특색 있는 놀이 공간을 만들려는 거예요 ... ...
- [가상 인터뷰] 참을성 있게 기다리는 갑오징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우와~, 내가 좋아하는 마시멜로야. 빨리 먹고 싶은데 시간은 왜 이렇게 느리게 가는 거야! 조금만 더 참으면 두 개 먹을 수 있다는데…. 갑오징어 ... 다가갈 때는 위장이 풀려 위 험하기 때문에, 사냥하기 더 쉽고 좋은 먹이 를 고르기 위해서 자기 통제 능력이 진화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 ... ...
- [기획] MS부터 일론 머스크까지,탄소 감축에 돈을 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요즘 기업과 기업인들은 지구에 관심이 많다냥. 예전에도 환경을 위한 일을 한 기업은 많았지만, 최근에는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냥. 기업 ... 있다.*세계경제포럼 :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저널리스트,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국제민간회의 ... ...
- [질문하면 답해 ZOOM!] 왜 딸꾹질을 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 ... 비치는 쪽으로 굽으며 자라게 돼요. 이처럼 식물이 빛을 향해 굽는 것을 ‘굴광성’이라고 해요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두 차례씩 한국과 미국을 오가는 만남으로 이어지고 있다. 물론 요즘은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만 만나지만. 그 덕분에 이제는 자녀 키우는 이야기도 스스럼없이 하는 사이가 됐다. 공동 연구의 장점은 연구를 함께한다는 것도 있지만 삶의 희로애락을 같이 하는 좋은 친구를 만나는 게 아닐까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