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잘록한 허리를 가진 일엽쌍곡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앞에서 관찰하면 직선 2개가 교차한 형태가 된다. 이때 이차식은 x²/a²+y²/b²-z²/c²=0의 형태가 되는데, 수학에서는 이를 ‘원추 표면’이라 부른다. 여기서 더 돌리면 원뿔 2개 사이가 벌어지면서 중간 부분이 꼬인 실로 연결되는데, 이 실만 없다면 ‘이엽쌍곡면’이 된다. 이때 이차식은 x²/a²+y²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이 방법은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호너가 제안한 방법과도 같다. 동양에서는 서양보다 300년이나 앞서 이 방법을 알고 있었던 셈이다.그런데 사실 동양에서 이런 방법으로 해를 구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동양의 방정식은 대부분 실생활 문제와 관련이 있어서 위와 같이 복잡한 계수의 방정식이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 에어 앰뷸런스가 없다7월 말, 미국인 의사 켄트 브랜틀리와 선교사 낸시 라이트볼이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미국 정부는 8월 초 ‘에 ... 연결된 호스로 호흡 복장 BL3+ 안면부밀폐 BL4 양압복 유지비용(전기료) 약 2000만 원/월 약 4000만 원/월 공통 격리실험시설(isolator ...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대류영역이 있다. 별이 뜨거울수록 대류영역의 부피가 작아지는데, 경계온도인 6250K 이상에서는 대류영역이 급격히 축소된다. 대류영역이 작으면 중심별이 조석에너지를 많이 잃어버리지 않아 경사각이 잘 변하지 않고, 변해도 느리게 감소하므로 궤도들은 사실상 정렬되지 않는다.그렇다면 ... ...
- 진짜 동물과 똑 닮은 동물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내뿜는 원리로 스프링을 늘이면서 점프를 하지요. 나는 한 번 점프할 때마다 높이 약 40㎝, 거리 약 0.8m나 뛸 수 있답니다.진짜 물고기처럼 부드럽게 헤엄치는 물고기로봇도 자기소개를 해 볼래?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과학자들이 개발한 로봇이에요. 실리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실제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개구리, 제비, 뱀, 뻐꾸기, 기러기, 잠자리, 매미를 관측해. 특히 식물은 기상관측소에 10종의 표준목을 둬서 꾸준하게 관측하고 있지. 이들의 공식적인 개화시기가 궁금하다면 기상관측소에 가면 되는 거야. 목록에 없는 철쭉 같은 꽃은 어떻게 하냐고? 철쭉은 기준이 없어 개화여부를 공식적으로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중요했던 분야는 일반상대론의 아인슈타인 방정식이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 초 정도까지 물리학자들이 어려운 방정식의 복잡한 해를 찾는 데 집착하면서 일반상대론 연구는 거의 정체 상태에 이르렀었다. 하지만 시공간 구조의 거시적인 성질을 방정식을 풀지 않고 연구하는 방향으로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저문다. ▶ 필자 주 | 이 글은 2030년대 시점에서 쓴 가상의 글이다. ▶ 최종일 교수(choiji01@chonnam.ac.kr)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전남대학교 생물공학과에 재직중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을 전공했지만, 우주나 극지와 같은 극한환경에서 .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괴로워하는 탑승객도 많았다.우주고도 도달파랗고 동그란 지구최고비행고도인 110km를 알리는 알람이 울렸다. 지구방향 창문으로 향했다. 창문 너머로 얇은 대기층과 지구의 둥근 가장자리가 보였다. 한 번도 보지 못한 지구 풍경이었다. 우주에 왔음을 더욱 실감했다. 궤도비행 우주선이 아니기에 ...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애기장대에 기생하는 새삼의 전령RNA 중 1.1%는 애기장대에서, 토마토에 기생하는 새삼의 0.17%는 토마토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로 숙주인 애기장대와 토마토에서도 새삼의 전령RNA가 각각 0.6%, 0.38% 있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것이 새삼과 숙주가 서로 전령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