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속에 있다. 처음 시작이 같은 0시라면 3시, 6시까지는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보이지만, 9시가 되면 휘어진 시공간에 있는 A는 3시의 B와 같은 위치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A는 B의 과거와 만나고, B는 미래의 A를 보게 된다. 시간이 더 흘러 12시가 되면, A는 처음 0시의 위치에 있게 되고, B의 눈에는 A가 1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부하는 ‘10월의 하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했으니 올해로 벌써 9년째다.그는 “과학자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어린이들은 과학자를 꿈꾸기 어렵다”며 “청소년에게 누구나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꿈을 심어주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밝혔다. *강연예고: 정 교수는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락, 다른 말로 결혼하지 않은 여성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 20~49세 여성의 유배우 비율은 2005년 62%가 넘었지만, 2014년에는 그 비율이 54%까지 떨어졌다. 만일 2000년의 유배우 비율이 계속 유지됐다면, 한국의 출산율은 2.0명 전후를 유지했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결국 ...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 결과, 곡예비행의 이승훈 선수가 드라큘라로 분장해 박쥐비행기를 선보이며 세계 9위를 기록했어요. 첫 출전임에도 좋은 성적을 냈지요. 국가대표 선수들이 푹 빠진 종이비행기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이승훈 선수가 자신의 부메랑 비행기를 다듬으며 얘기했어요. “종이비행기는 바닥에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변화를 분석해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낸답니다. KMTNet은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월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 외계행성에 대한 과학자들과 시민들의 노력이 정말 놀랍군!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6년 3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ad6359 최근 존 맥기헌 영국 포츠머스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이페테이스의 구조를 분석해 분해 효율을 개선하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doi: 10.1073/pnas.17188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성격의 결함이 아닌, 고도로 진화된 사회적 행동의 결과로 해석한다.doi:10.1007/s40806-017-0121-9 남성들의 사랑 경쟁은 양상이 다르다. 소위 ‘팀전’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경쟁 상대의 동태를 눈여겨 관찰한 뒤 연합을 체결하고, 그 연합에서 벗어난 경쟁자와만 대결한다. 방송에서도 같은 방을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들지 않을 정도로 비슷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다. 가령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 약 9.8m/s²이지만 게임 엔진에서는 편의상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현실에서는 물체가 떨어질 때 중력의 영향과 함께 공기저항을 받지만, ‘마영전’ 세계에서는 공기저항이 없다. 물체의 밀도마다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Mol’을 따서 만든 것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오늘날 ‘아보가드로 상수’는 190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페랭이 최초로 실험을 통해 계산해냈다. 페랭은 미세한 입자의 브라운 운동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이것이 볼츠만의 기체운동 이론(PV=NkBT,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분자 개수, kB는 볼츠만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