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스페셜
"
가지
"(으)로 총 2,42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또는 그 이상으로 흔한 대응법은 ‘있을 법한 일’ ‘원래 그런 것’ ‘다른 데도 다 마찬
가지
’ 등 괴로움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것이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고 했던가, 사람들은 실제로 불행한 현실을 조금이라도 덜 불행하게 느끼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심지어 그 불행의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낮다는 것이다. 멘델은 완두의 스물두
가지
형질 가운데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일곱
가지
를 택해 교배실험을 했다. 사진속의 완두에 이를 적용해보면 둥근 콩과 부푼 콩깍지는 우성이고(주름진 콩과 수축된 콩깍지가 열성) 녹색 콩은 열성이다(노란 콩이 우성). - Bill Ebbesen 제공 ● 다윈 논문 안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고인 물 위에 붙어 있는다. 이 두 성질은 물과 기름처럼 서로 상극이다. 한 물질이 두
가지
성질을 동시에 갖기는 어렵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물체의 표면에 소수성과 친수성 성질을 모두 갖게 하려는 연구자들의 성과가 실렸다. 스티즌 머텐스 벨기에 루벵대 연구원 팀은 스위스 취리히대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
2016.06.28
사람들 마음 속 공포로 깊이 피어가고 인종간, 계층간 대립을 불러오게 될 것이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훨씬 진짜 문제는 사회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 불황이나 정치 불안의 근본적 문제 모두 그 원인이 내부에 있을 수 있는데, ‘공공의 적’이 존재한다는 메시지는 사람들의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
2016.06.21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는 귀담아 들을 필요 없다고 생각했던 것도 같다. 관련해서 한
가지
마음이 찔렸던 연구를 소개하면 나르시시스트들은 업무의 ‘내용’과 상관없이 그 업무가 누군가를 돕는 것이거나 보조적인 것이면 하기 싫어하고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이며 업무의 중요성을 평가절하하는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했다(자문자답 또는 자기합리화?). 먼저 팔레트 이론이다. 그림을 배울 때는 기본색 몇
가지
만 갖고 그림을 그리라고 하지만(물감을 이리저리 섞으면서 색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화가들에게 ‘그 물감’이 아니면 안 되는 ‘그 색’이 있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고급 향수에 필수 원료였던 사향 ... ...
어디서 홈런이 더 잘 나올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잘 나온다고 이야기할 때 항상 예시로 들고 오는 도쿄돔 사례는 이 돔 구장 효과에 한
가지
가 더해진다. 도쿄돔의 '지붕' 때문이다. 도쿄돔은 구장에서 행사를 진행할 때 둥그런 지붕을 유지하기 위해 기압을 이용한다. 경기장 내부에 공기를 빵빵하게 불어 넣어 풍선처럼 둥글게 띄운다. 이 때문에 ... ...
집 한 채로 노후 준비 가능할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전년 대비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상품은 크게 세
가지
다. 첫째는 ‘주택담보대출 상환용 주택연금’이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을 가진 만 60세 이상 가입자가 주택연금 일부를 찾아 기존 대출을 갚고 잔여분을 매월 연금으로 받는 상품이다. 기존 주택연금 일시 인출 가능 ... ...
소득 높을수록 퇴직소득세 증가한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고소득자 세 부담 증가 2016년에 바뀐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은 기존의 것과 비교할 때 2
가지
큰 차이점이 있다. 첫째, 지난해까지는 퇴직금 금액에 상관없이 누구나 퇴직금의 40%는 세금을 내지 않고 공제를 받았다(정률공제 40%). 그리고 근속연수에 따라 일정금액을 다시 소득공제한 후, 세금을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
2016.06.07
들었다. 관련해서 또 한
가지
생각해볼만한 것이 상대적으로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가지
지 않은 사람들 간의 심적 여유의 차이이다. Keltner 등 학자들의 연구들에 의하면 권력감이 낮은 사람들은 비교적 당장의 생존에 급급한 편이고 때문에 비교적 근시안적인 판단을 내리기 쉽다고 한다. 반면,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