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통해 매일 사용 전력과 여유 전력을 관리하고 있다. 화성에서는 먼지폭풍이 태양빛을 가리기 때문에, 이곳의 전력 상황은 늘 빠듯하다.외부감시 카메라를 통해 바깥 풍경을 본 나는 환호했다. 제법 먼 곳까지 선명하게 잡혔다! 무려 한 달만이다. 그 동안 먼지폭풍으로 온통 붉은 먼지에 휩싸여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영상에서 사라졌어요.변용익 교수는 “함양과 산청의 상공에서 폭발해 분리된 별똥별이 빛을 내지 않고 낙하하는 암흑비행을 거쳐 진주에 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분리된 별똥별은 크기가 작을수록 대기의 저항을 많이 받아 속도가 크게 줄어요. 이는 진주에서도 궤도의 끝으로 갈수록 더욱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세종이 수학을 중시하자 여러 나라의 정책들은 안정을 찾게 되었다. 수학의 실용성이 빛을 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 실제로 생활에 쓰일 수 있는 ‘실학’이 대두되면서 산학이 더욱 중시되기에 이른다. 또, 중국을 통해 서양과학이 들어오면서 수학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에서 약 3만 3000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팔에 위치하고 있다.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이동한 거리가 1광년이므로, 우리은하의 크기는 더 이상 우리 머릿속에서 상상조차 하기 힘든 거대한 규모라는 걸 알 수 있다.그렇다면 거대한 우리은하를 좀 더 상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론 완성에 한 걸음 다가서는데, 대학 때 그로스만이 꼼 꼼히 정리해 둔 노트가 빛을 발하지요. 드디어 아인슈타인은 1915년 11월 자신의 이론에 리만 기하학을 접목시킵니다. 일반 상대성이론이 탄생하는 순간입니다.아인슈타인은 수학자 친구 덕분에 졸업 시험을 통과했을 뿐더러 가장 위대한 ... ...
- 꿀꺽~ ‘나노주스’로 내시경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물에 섞어 마신 뒤 영상장비로 관찰하면 소장 내부를 알록달록 빛나게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물에 잘 퍼지지 않는데다 소장의 혈관에서 흡수돼버리는 단점이 있었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팀은 ‘나노냅’이라는 아주 작은(나노미터 크기, 1nm는 10-9m) 나노 구조물에 염색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행동을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생물이었다. 벤저 교수는 초파리를 통해서 처음으로 빛에 반응하는 행동, 즉 주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밝혔다. 그리고 1967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역류장치로 분리된 초파리의 행동 돌연변이들’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선구적인 논문 이후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우리는 눈을 가진 생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빛이 아닌 냄새나 소리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물들이 자연선택 돼 캄브리아기 폭발을 일으켰다면 어땠을까. 생물체와 생태계는 지금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 말이 없는 삼엽충 화석을 들여다 ...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많은 사용자와 만나고 그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수록, 산업공학이 빛을 발합니다. 매일 친구들과 단체카톡방에서 얘기하죠? 이 기능을 모바일 메신저 최초로 제공한 것이 카카오톡입니다. 또 문자와 메신저를 합친 대화창도 카카오톡의 특징이죠. 바로 이렇게 사용자 중심의 ... ...
- [과학뉴스] 태양보다 1300배 큰 불타는 눈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초대형망원경(VLTI) 덕분이었지요. 이 망원경은 주변에 있는 다른 망원경 여러 대로부터 빛을 모으는 원리로 별을 관측해요. 이런 원리를 사용하면 지름이 140m나 되는 거대망원경 한 대로 보는 것만큼의 효과가 있지요.연구팀은 두 별이 매우 가깝게 붙어 있기 때문에 별끼리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