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예상밖
d라이브러리
"
생각밖
"(으)로 총 3,433건 검색되었습니다.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원전 412년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인플루엔자는 현재까지 정복당하지 않고 있다. 끊임없이 형태를 바꾸는 능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여러 종류의 단백질로 구성돼 면역체계를 자극하는 백신은 새로운 약품에 의해 좀더 강력해지고 있다. 뉴라미데이즈 저해제로 알려진 이 약품은 잠재 ... ...
스페인 침몰 유조선 기름 제거 작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11월 19일 침몰한 유조선 프레스티지호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이 스페인 북서부 해안을 파괴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막아보려는 노력은 기상 악화로 차질을 빚고 있다. 오염 정화작업은 최소한 6개월, 그 비용은 4천만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의 자기공명(磁氣 ... ...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무인기 헬리오스는 지난해 7월 태평양 상공에서 첫 시험비행을 끝냈다. 이 과정에서 고도 2만2천8백18m까지 올라가 당시 세계최고의 고도기록을 깼다. 상용제트기보다 3배나 높이 올라가도록 설계된 헬리오스 시제기는 미래에 비싼 통신위성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생물체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파킨슨병 - 근육이 떨리고 딱딱해지며 약해지는 증상을 초래하는 신경 질환. 노인 인구의 2백명 중 한명 꼴로 발생한다. 이 병은 척수와 신경세포, 근육에 중요한 정보를 보내는 뇌 안쪽에 위치한 신경세포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대량 사멸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미오키나아제라고도 한다 생체 내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다른 건 다 참을 수 있겠는데, 김치 생각만큼은 정말 간절하더라.”잠시 한국을 떠나 외국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빼놓지 않고 하는 말이다. 김치 없이는 정말 못산다는 노랫말까지 있으니 우리 민족과 김치는 결코 뗄 수 없는 사이인 듯하다. 과학적인 발효 식품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는 김치.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미국 중앙정보국은 빈 라덴이 이끄는 알카에다 조직의 요인 6명을 무인기 프레데터로 예멘 사막에서 공격해 사살했다. 제너럴 애토믹스 사가 개발한 무인기 프레데터에는 레이저로 조종되는 헬파이어 미사일 한발이 장착돼 있었다. 겨울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서 오리온자리 바로 밑 토끼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Bugbear’(버그베어)라는 신종 e메일 바이러스가 빠르게 번지고 있다. PC가 이 e메일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해커들이 원격으로 각종 암호나 신용카드와 같은 중요 정보를 빼낼 수 있어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연구소를 관리·경영하는 독일의 법인기관 정식 명칭은 막스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지난 1991년 1월 코소보의 라차크 마을에서 알바니아인 40명 이상이 살해된 사건은 세르비아 경찰에 의한 대학살로 전해져 왔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희생자들이 처형된 흔적이 없다고 말하며 이런 진술을 부인했다. 대신 누군가 죽은 반란군의 군복을 벗기고 시민의 옷으로 갈아 입힌 후 불 ... ...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옷과 꽃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페트병으로 옷을 만들 수 있는 실을 뽑아보자. 계란판과 페트병으로 장식용 꽃을 만들어보자. 이를 통해 플라스틱의 성질과 재활용의 의미를 생각해본다.슬기는 오랜만에 작은 아버지 댁에 놀러갔다. 그곳에서 슬기는 6살짜리 사촌 여동생에게 안데르센의 동화‘백조왕자’를 읽어줬다.옛날 옛날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학질모기와 이에 기생하면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의 게놈 청사진이 ‘사이언스’ 10월 4일자에 발표됐다. 매년 3백만여명이 모기로 인해 사망하는데, 이번 게놈 발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살충제 개발을 이끌 전망이다. 한 가닥의 중심 도체(導體)와 이것을 둘러싼 절연된 외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